경기도, 판교테크노밸리 이어 6번째 첨단 산단 조성 추진
'매출 77조' 부산·인천 맞먹는 '판교테크노밸리' 성공 기대


경기도는 오는 13일 공개 발표와 평가를 거쳐 여섯 번째 테크노밸리 사업지를 선정한다.

테크노밸리는 경기도가 추진 중인 첨단 산업단지 조성사업이다.

미래 성장을 이끌 IT(정보통신)·BT(바이오)·CT(문화)·NT(나노) 등 업종의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별 자족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여섯 번째 테크노밸리 유치에 나선 지자체는 양주시, 의정부시, 구리·남양주시 등 경기북부 3곳이다.
[테크노밸리 잡아라] ① '실리콘밸리' 꿈꾸며 유치 사활
양주시는 남방동·마전동 일대 55만5천여㎡에 2천635억원을 들여 섬유·패션, 전기·전자 업종 중심의 첨단 산업단지 조성을 희망하고 있다.

시가 40% 지분을 참여해 도시개발사업과 산업단지개발사업을 병행하는 방식이다.

의정부시는 녹양동 29만9천여㎡ 개발제한구역에 1천991억원을 들여 시가 직접 도시개발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시는 사업지로 선정되면 산업단지에 섬유, 가구, 전자 중심의 첨단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공동으로 테크노밸리 유치에 나섰다.

구리시 사노동 일대 21만9천여㎡와 인접한 남양주시 퇴계원 일대 7만2천여㎡ 등 29만2천여㎡가 사업 대상지로 구리도시공사와 남양주도시공사가 공동으로 49% 지분으로 참여해 도시개발사업을 진행한다.

두 지자체는 IT·BT·CT·NT 등 지식산업과 주거·복합시설을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사업지 선정은 시·군 참여도(30점), 입지 우수성(30점), 사업 추진의 신속성과 용이성(30점), 개발구상(10점) 등 4개 항목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가장 좋은 점수를 얻은 지자체를 선정한다.

각 지자체는 테크노밸리 유치에 사활을 걸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자족 기반이 취약해 지자체에 테크노밸리가 조성되면 단체장의 치적 홍보는 물론 실질적으로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지난해 경기북부 첫 테크노밸리 조성 때도 사업지로 선정된 고양시를 비롯해 파주, 구리, 남양주, 양주, 의정부, 동두천 등 7개 지자체가 유치전에 뛰어들어 치열한 경쟁을 벌인 바 있다.

현재 조성됐거나 사업지가 선정된 테크노밸리는 고양시를 포함해 모두 5곳이다.

고양시는 일산서구 79만6천여㎡에 2023년까지 6천800억원을 들여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산업 수요를 창출하는 신산업 플랫폼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실시계획 승인을 위한 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을 의뢰한 상태다.

광명과 시흥에도 경기도시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으로 참여해 테크노밸리를 조성하고 있다.

광명시 가학동과 시흥시 논곡동 일대 205만7천여㎡에 2023년까지 1조 6천552억원을 들여 첨단 R&D, 유통, 주거단지를 조성해 경기도 서북축 차세대 신성장동력벨트로 육성하게 된다.

2천200여 개 기업 유치와 9만6천여 명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판교테크노밸리 인근 성남시 금토동·시흥동 일원 43만㎡에도 경기도, 성남시, LH, 경기도시공사가 공동으로 6천780억원을 들여 판교제로시티(창조경제밸리)를 조성하는 사업이 한창이다.

이곳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l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연구하는 집합체로 조성하고 오픈 플랫폼 기반의 자율주행차 실증단지가 구축된다.

창업기업 300개, 성장기업 300개, 혁신기업 150개 등 750개 기업이 입주한다.

이밖에 경기도에는 수원 광교와 판교 테크노밸리가 조성돼 있다.

2008년 완공한 수원 광교테크노밸리에는 26만9천여㎡에 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R&D센터, 나노기술원, 융합기술원 등 5개 시설이 들어서 IT·NT·BT 복합기술융합 거점 역할을 하며 기초원천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한 판교테크노밸리는 명실상부하게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곳이다.

IT·NT·BT·CT 등 1천306개 첨단기업이 들어서 한국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판교테크노밸리의 매출 규모(2016년 말 기준)는 경기도 GRDP(지역 내 총생산)의 22%로 부산시(78조원), 인천시(76조)와 맞먹는다.

지자체들이 테크노밸리 유치에 나선 이유도 판교테크노밸리의 성공 때문이다.

뒤늦게 테크노밸리 조성에 나선 지자체들은 차별화한 첨단산업단지를 조성, 자족 기반을 갖춘 첨단 도시를 꿈꾸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의 소망대로 판교테크노밸리와 같은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아직 불확실하다.

경기도 관계자는 "판교테크노밸리는 미래 한국경제를 이끌 첨단 혁신클러스터로 성장했다"며 "현재 테크노밸리를 조성 중이거나 조성 예정인 지자체들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