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석 한국당', 몸집 커졌지만 내부 갈등 증폭 양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준표·김무성, 일단 '친박청산' 공동목표 두고 협력 예상
친박-복당파 '신경전' 예고…"김무성, 정계은퇴 선언뒤 입장해야"
한국당 사무처노조 "바른정당 당직자 복귀반대…무기한 단식"
당내 '화학적 결합' 미지수…12월 원내대표 경선 세대결 주목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 9명이 6일 탈당을 전격 선언한 데 이어 자유한국당에 복당할 예정이어서 한국당 의석수는 머지않아 116석으로 늘어난다.
여전히 더불어민주당(121석)에 이어 원내 제2당이지만, 몸집이 커진 만큼 앞으로 원내 협상 과정에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앞으로 펼칠 한국당 내 상황은 고차 방정식과 같은 복잡한 양상을 띨 전망이다.
지난 5월 1차 집단탈당에 이은 이번 탈당으로, 바른정당에 있다 한국당으로의 복당을 택한 의원은 22명. 이들이 김무성 의원과 가깝다는 점에서 곧바로 한국당내 '친(親) 김무성계'가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조치로 이번 탈당의 명분을 마련한 홍준표 대표와 통합파의 좌장격으로 집단탈당을 결정한 김무성 의원은 일단 전략적 협력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 2005년 한나라당 시절 혁신안을 놓고 당시 혁신위원장이었던 홍 대표와 사무총장이던 김 의원이 정면 충돌해 김 의원이 물러난 구원(舊怨)이 있지만, 대립구도는 피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당내 친박(친박근혜)이라는 '공동의 정적'이 있는 데다, 홍문표 사무총장, 박성중 홍보위원장 등 이미 복당한 친김무성계 상당수가 홍 대표 체제에서 주요 당직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김 의원은 당분간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백의종군'하며 자숙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김 의원을 비롯한 복당파와 친박계의 관계다.
친박계 의원들 사이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앞장서고 바른정당 창당을 주도한 김 의원에 대한 반발 심리가 상당하다.
친박계 의원들은 김 의원이 지난해 새누리당 대표 시절 '옥쇄 파동'으로 총선을 망치고, 탄핵 국면에서는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앞장서 정권을 고스란히 민주당에 헌납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홍 대표가 인적청산 과정에서 친박계 핵심인 서청원·최경환 의원뿐만 아니라 김 의원 등 복당파에 대해서도 징계의 칼날을 들이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친박계인 이장우 의원은 당장 자신의 트위터에 "김무성 전 대표는 한국당에 입당하기 전에 지난 공천 파동, 선거 패배, 분당 책임에 대해 머리 숙여 사과하고 21대 총선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선언하는 것이 당원과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촉구했다.
여기에다 바른정당의 원외 당협위원장과 당직자들의 복당 문제도 갈등 요소가 될 수 있다.
지난 2일 이미 바른정당 당직자들의 복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한국당 사무처 노조는 바른정당 탈당사태가 현실화하자 '바른정당 사무처의 복귀 반대'를 내걸고 무기한 단식투쟁에 돌입했다.
사무처 노조는 성명에서 "당 재정난 등으로 인해 40명 가까운 한국당 당직자가 희망퇴직 등을 한 상황"이라며 "자신이 몸담았던 직장을 적폐로 규정하고 당을 옮긴 사람들을 다시 받아들이는 것은 법적·재정적·직업적·인간적 차원에서 합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같이 바른정당 복당파의 한국당내 '화학적 결합'이 주목되는 가운데 다음 달 치러지는 원내대표 경선이 주요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주영·나경원·유기준·조경태·홍문종·김성태 의원 등이 주요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홍 대표와 김 의원 모두 친박계 원내대표 당선을 피해야 한다는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어 일단은 암묵적으로 손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이 경우 이번 원내대표 경선은 홍 대표와 김 의원을 중심으로 하는 비박계와 친박계의 대결 구도가 될 수 있다.
당무감사 결과를 기초로 한 당협 구조조정도 시한폭탄이다.
친박계 의원들은 이번 당무감사가 '홍준표 사당화'를 위한 과정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우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현재 복당파 의원들의 지역구에 이미 임명된 당협위원장이 자리를 잡고 있어 한국당 내 당협위원장 교통정리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파열음이 터져 나올 수 있다.
무엇보다 홍 대표가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전략공천'을 대폭 확대할 경우 '상향식 공천'을 주장해 온 김 의원과의 정면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울러 연말연초 개헌 정국이 도래하면 적극적인 개헌론자인 김 의원이 자기의 목소리를 보다 더 분명히 낼 수 있어 당내 주도권 싸움은 한층 복잡하게 흘러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연합뉴스
친박-복당파 '신경전' 예고…"김무성, 정계은퇴 선언뒤 입장해야"
한국당 사무처노조 "바른정당 당직자 복귀반대…무기한 단식"
당내 '화학적 결합' 미지수…12월 원내대표 경선 세대결 주목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 9명이 6일 탈당을 전격 선언한 데 이어 자유한국당에 복당할 예정이어서 한국당 의석수는 머지않아 116석으로 늘어난다.
여전히 더불어민주당(121석)에 이어 원내 제2당이지만, 몸집이 커진 만큼 앞으로 원내 협상 과정에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앞으로 펼칠 한국당 내 상황은 고차 방정식과 같은 복잡한 양상을 띨 전망이다.
지난 5월 1차 집단탈당에 이은 이번 탈당으로, 바른정당에 있다 한국당으로의 복당을 택한 의원은 22명. 이들이 김무성 의원과 가깝다는 점에서 곧바로 한국당내 '친(親) 김무성계'가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조치로 이번 탈당의 명분을 마련한 홍준표 대표와 통합파의 좌장격으로 집단탈당을 결정한 김무성 의원은 일단 전략적 협력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 2005년 한나라당 시절 혁신안을 놓고 당시 혁신위원장이었던 홍 대표와 사무총장이던 김 의원이 정면 충돌해 김 의원이 물러난 구원(舊怨)이 있지만, 대립구도는 피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당내 친박(친박근혜)이라는 '공동의 정적'이 있는 데다, 홍문표 사무총장, 박성중 홍보위원장 등 이미 복당한 친김무성계 상당수가 홍 대표 체제에서 주요 당직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김 의원은 당분간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백의종군'하며 자숙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김 의원을 비롯한 복당파와 친박계의 관계다.
친박계 의원들 사이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앞장서고 바른정당 창당을 주도한 김 의원에 대한 반발 심리가 상당하다.
친박계 의원들은 김 의원이 지난해 새누리당 대표 시절 '옥쇄 파동'으로 총선을 망치고, 탄핵 국면에서는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앞장서 정권을 고스란히 민주당에 헌납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홍 대표가 인적청산 과정에서 친박계 핵심인 서청원·최경환 의원뿐만 아니라 김 의원 등 복당파에 대해서도 징계의 칼날을 들이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친박계인 이장우 의원은 당장 자신의 트위터에 "김무성 전 대표는 한국당에 입당하기 전에 지난 공천 파동, 선거 패배, 분당 책임에 대해 머리 숙여 사과하고 21대 총선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선언하는 것이 당원과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촉구했다.
여기에다 바른정당의 원외 당협위원장과 당직자들의 복당 문제도 갈등 요소가 될 수 있다.
지난 2일 이미 바른정당 당직자들의 복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한국당 사무처 노조는 바른정당 탈당사태가 현실화하자 '바른정당 사무처의 복귀 반대'를 내걸고 무기한 단식투쟁에 돌입했다.
사무처 노조는 성명에서 "당 재정난 등으로 인해 40명 가까운 한국당 당직자가 희망퇴직 등을 한 상황"이라며 "자신이 몸담았던 직장을 적폐로 규정하고 당을 옮긴 사람들을 다시 받아들이는 것은 법적·재정적·직업적·인간적 차원에서 합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같이 바른정당 복당파의 한국당내 '화학적 결합'이 주목되는 가운데 다음 달 치러지는 원내대표 경선이 주요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주영·나경원·유기준·조경태·홍문종·김성태 의원 등이 주요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홍 대표와 김 의원 모두 친박계 원내대표 당선을 피해야 한다는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어 일단은 암묵적으로 손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이 경우 이번 원내대표 경선은 홍 대표와 김 의원을 중심으로 하는 비박계와 친박계의 대결 구도가 될 수 있다.
당무감사 결과를 기초로 한 당협 구조조정도 시한폭탄이다.
친박계 의원들은 이번 당무감사가 '홍준표 사당화'를 위한 과정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우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현재 복당파 의원들의 지역구에 이미 임명된 당협위원장이 자리를 잡고 있어 한국당 내 당협위원장 교통정리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파열음이 터져 나올 수 있다.
무엇보다 홍 대표가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전략공천'을 대폭 확대할 경우 '상향식 공천'을 주장해 온 김 의원과의 정면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울러 연말연초 개헌 정국이 도래하면 적극적인 개헌론자인 김 의원이 자기의 목소리를 보다 더 분명히 낼 수 있어 당내 주도권 싸움은 한층 복잡하게 흘러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