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현안 쌓였는데…백악관 너무 오래 비운다" 우려 방문국선 북한·무역 등 까다로운 이슈 대기…"딜메이킹 기술 시험무대 될 것"
3일(현지시간)부터 시작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아시아 순방이 내우외환 속에서 닻을 올린다.
이번 순방의 당면 과제가 될 북핵 위기와 무역 갈등이라는 국제적 이슈는 물론 미국 내에서도 민감한 현안들이 산적해 있어서다.
ADVERTISEMENT
특히 본궤도에 오른 로버트 뮬러 특별검사의 '러시아 스캔들' 수사와 뉴욕 맨해튼 트럭 테러, 트럼프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인 세제개편 문제가 한꺼번에 불거지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길을 무겁게 한다.
따라서 1991년 말∼1992년 초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 이후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25년 만에 가장 긴 아시아 방문 일정을 소화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너무 오래 백악관을 비우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뮬러 특검의 경우 지난달 30일 트럼프 대선캠프 선대본부장 출신인 폴 매너포트를 비롯한 3명을 기소한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실세 맏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에 대한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ADVERTISEMENT
트럼프 대통령은 특검의 최근 기소에 대해 "우리와는 관계가 없다"며 선을 긋고 있지만, 조여오는 수사망에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게다가 대대적인 감세를 골자로 한 세제개편으로 첫 정치적 업적을 달성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하필 공화당 세제개편안이 순방 직전에 나온 것도 부담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한 외부 고문은 "순방 기간이 너무 긴 데다 심지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에 방해될 뿐"이라며 "아시아 순방은 세제개편이나 재선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그러나 백악관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어디에 있든 다양한 이슈들에 계속 집중할 수 있다며 이 같은 우려를 일축했다.
ADVERTISEMENT
방문국에서도 안보, 경제와 관련한 각종 이슈가 기다리고 있다.
싱크탱크 국가이익센터(CNI)의 해리 카지아니스 국방연구소장은 "이번 순방의 90%는 북한에, 10%는 무역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문제를 비롯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무역협정이 주요 의제가 될 거라는 점에서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수완을 포함, 거래 성사(deal making) 기술을 시험하는 무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ADVERTISEMENT
방문국들이 최근 지도 체제를 재정비했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들과 어떤 관계를 만들어갈지도 주목된다.
중국은 최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2기를 열었고, 일본 역시 아베 신조(安倍晉三) 총리가 새 임기를 시작하는 등 권력을 공고화한 상태다.
아울러 필리핀과 베트남 방문은 트럼프 대통령 체제에서 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지원 의사를 시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동아시아국제관계 전문가 밍완 조지메이슨대 교수는 집권 2기 개막 이후 시 주석은 자신감 넘치는 강대국의 지도자처럼 보이고 싶어 할 것이라며 그가 트럼프 대통령을 '황제'처럼 대접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장 중요한 대목은 순방의 최대 목적인 북핵 논의다.
그 중에서도 북한 문제에 있어 중국의 역할을 강조해왔던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대북 발언을 내놓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CNN은 순방 기간에 북한이 대형 핵·미사일 도발로 잔치 분위기를 망치고 트럼프가 또다시 격한 언어로 반응한다면 이는 중국에 '방 안의 어른 노릇'을 할 기회를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쿠보 후미아키(久保文明) 도쿄대 교수는 "(미국과 순방국) 정부 간에 의견의 일치가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며 "예측 불가능성은 적을 초조하게 만들지만, 동맹국들 역시 초조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자신이 걷어찼던 TPP 역시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불편한 순방 과제가 될 수 있다.
제프 킹스턴 일본 템플대 아시아 연구소장은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TPP에서 손을 뗀 것을 큰 실수라고 여길 것"이라고 말했다.
TPP는 전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업적으로 꼽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TPP 탈퇴를 선언했다.
이는 현대판 실크로드를 꿈꾸며 '일대일로'를 추진하는 중국에 오히려 좋은 기회를 내줬다는 평가다.
중국에서 맨홀 뚜껑이 날아와 주행 중이던 차량을 덮치는 사고가 발생했다.27일(현지시간) 중국 시나닷컴 등은 "이날 오전 랴오닝성 선양시 한 도로를 달리던 차 앞 유리에 맨홀 뚜껑이 날아왔다"며 "앞에서 달리던 하얀색 SUV 차량의 타이어에 맨홀 뚜껑이 눌려 갑자기 튀어 올라 공중으로 날아가면서 뒤에 있던 BYD 차량 앞 유리창에 부딪혔다"고 보도했다.맨홀 뚜껑은 운전석 쪽에 박혔다. 피해 차량의 블랙박스에는 맨홀 뚜껑이 튀어 오른 후 박히는 모습이 선명하게 담겼다.중국 교통 담당 한 공안은 현지 매체 지우니 뉴스와 인터뷰에서 "이건 엄밀히 말해 교통사고가 아니다"며 "피해 차량 운전자가 증거를 보관하고, 맨홀 뚜껑 소유주에게 보상을 청구해야 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이런 상황은 흔하지 않다"며 "원칙적으로 차량에 과적재가 없고, 도로 주행 조건이 갖춰져 있으며, 과속하지 않고, 정상적인 압착이 있었다면 맨홀 뚜껑이 튀어나와 날아오르는 일은 없다"고 했다.하지만 사고 영상이 웨이보, 더우인 등 중국 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하면서 "충격적이다"는 반응도 이어졌다.또한 최근 맨홀 뚜껑이 날아와 차량 타이어, 문 등이 손상된 사고 들이 종종 발생하는데, 피해 차량이 맨홀 뚜껑 소유자를 찾아내, 책임을 요구하는 게 법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도록 법적인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일본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은 ‘처리수’)의 11차 해양 방류를 완료했다.30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지난 12일부터 오염수의 11차 해양방류를 통해 7800톤을 처분했다.방류기간 원전 주변 바닷물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 농도에 이상은 없었다고 도쿄전력은 밝혔다.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는 2023년 8월부터 지금까지 모두 11회에 걸쳐 이뤄졌다. 이 기간동안 해양에 방류된 오염수는 모두 8만6000톤에 달한다.도쿄전력은 올해 4월부터 내년 3월까지도 7차례에 걸쳐 5만4600톤을 방류할 계획이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미얀마에 규모 7.7 강진이 나 인근 국가인 태국까지 피해가 번지면서 태국 출신 K팝 아이돌들도 안타까움을 드러냈다.29일 블랙핑크 멤버 리사는 "지진으로 피해를 본 모두를 위해 기도합니다. 안전하길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담은 글을 자신의 계정에 게재했다. 그룹 2PM 닉쿤과 (여자)아이들 민니 또한 "모두 안전하길 바랄게요"라며 현지인들의 안전을 당부했다.갓세븐 태국 멤버 뱀뱀 역시 "모든 뉴스를 팔로우하고 조심하라"고 당부했고, 베이비몬스터 치키타는 "태국에 있는 모두 안전하길 바란다"고 위로의 메시지를 전했다.하지만 일각에서는 국내 영남 지방에서도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생해 연일 피해가 커지는 상황을 언급하며 "한국에서 활동하면서 한국의 재난에는 외면한다"는 반응도 나왔다. 몇몇은 "한국에서 활동해 명성을 얻고 돈을 벌면서 기부하지 않는다"는 날 선 주장도 나오고 있다.온라인 커뮤니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유명인 산불 기부 명단'이라며 기부자와 기부액을 나열한 리스트가 공유되고 있기도 하다.명단에는 세븐틴 정국 10억원, JYP엔터 5억원, 지드래곤 SM엔터 3억원, 아이브 아이유 2억원, 라이즈 재민 1억 5000만원, 황영웅 1억 4000만원, 정동원 1억 3000만원, 공유 김우빈 김준수 도영 마크 미연 백종원 수지 슈가 슬기 신민아 에이티즈 영탁 윈터 윤아 은혁 이병헌 이영지 이종석 이준호 이찬원 이효리 장근석 장민호 재현 전소연 정해인 제노 제이홉 지창욱 차은우 카리나 태연 태용 RM 1억원 등 가수, 배우를 비롯한 유명인들이 이름을 올렸다.리사가 있는 블랙핑크의 경우 지수가 1억5000만원, 제니가 1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