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터가 송두리째 바꿀 미래… 집에서 전기차 만들 수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인재포럼 2017 - 우리가 만드는 미래
주제강연
에이드리언 보이어 렙랩연구소 설립자
개인이 태양광 패널 설치하듯 '1인 기업' 전성시대 열릴 것
독점 아닌 공유 방식으로 기업들 환경변화에 대응해야
주제강연
에이드리언 보이어 렙랩연구소 설립자
개인이 태양광 패널 설치하듯 '1인 기업' 전성시대 열릴 것
독점 아닌 공유 방식으로 기업들 환경변화에 대응해야

보이어 설립자는 2일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7’에서 ‘오픈소스 하드웨어 혁명을 말하다’를 주제로 강연했다. 그는 2004년 영국 바스대에 자기복제가 가능한 3D프린터를 개발한 인물이다. 보이어 설립자는 3D프린터와 같은 혁신적인 정보기술(IT) 도구들이 미래의 모습을 송두리째 바꿔놓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기업에 미칠 파장은 상상 이상이다.
ADVERTISEMENT
대량생산체제의 상징인 자동차마저 개인 차고에서 뚝딱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게 보이어 설립자가 그리는 미래다. 그는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했을 때 가장 저렴한 3D프린터를 4만달러에 구매했지만 이제는 400달러면 3D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런 환경 변화에 맞서려면 기업들은 독점이 아니라 공유로 체질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이어 설립자는 테이블에 놓여 있는 유리잔을 사례로 공유가 어떻게 수익으로 이어지는지 설명했다. “이 유리잔을 보세요. 처음 만든 기업이 지금껏 특허를 주장했으면 어땠을까요. 특허에 의존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ADVERTISEMENT
보이어 설립자는 기술 발전이 부의 편중 현상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3D프린터가 보급되면 모든 제조업의 장벽이 낮아져 개인이 진입할 수 있게 되고, 결국 한쪽에 집중돼 있던 부가 개인들에게 널리 퍼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