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감파행 진앙' 과방위서 한국당 복귀 놓고 신경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당은 이날 오전 의원총회를 열어 국감 보이콧을 전격 철회했고, 이에 따라 과방위 소속 한국당 의원들도 국감장으로 돌아왔다.
ADVERTISEMENT
그러나 국감 재개 직후부터 여야가 그간의 보이콧을 둘러싼 날선 공방을 벌이느라 30분 가까이 피감기관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한 질의를 시작하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신경민 의원은 "방송장악을 저지한다는 명분으로 신 위원장을 포함해 자리를 비웠었다.
ADVERTISEMENT
그러자 복귀한 한국당 의원들이 일제히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반발했다.
이들은 노트북 앞면에 '민주주의 유린 방송장악 저지'라고 적힌 문구를 부착한 채 국감에 임했다.
ADVERTISEMENT
한국당 간사인 박대출 의원은 "당시 내용을 보면 현 집권세력의 공영방송 장악 논란은 사실이었음을 알 수밖에 없다"며 "방문진과 방송통신위원회는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꼭두각시 인형으로 연출되는 것에 불과하고 실질적인 연출과 기획은 현 정권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재 의원도 "지난 금요일 신 의원은 고 이사장에게 '어디에다 대고 항의하느냐', '연세가 어떻게 되느냐' 등 부적절한 발언을 많이 했다"면서 "이는 국회의원의 갑질이다.
ADVERTISEMENT
동네 싸움이 아니지 않느냐"고 따졌다.
하지만 신 의원은 다시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제 친정회사(MBC)를 망가뜨린 주역, 공범자도 아닌 주역이 저에게 '똑바로 하라'라고 말한 데 감정 컨트롤을 못 했다는 점을 인정한다"면서도 "그 나머지 말실수를 했거나 결례를 했다고 생각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새민중정당 윤종오 의원은 한국당 의원들에게 "적반하장도 유분수"라면서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거치면서 국정원을 동원해 방송을 장악하려고 얼마나 갖은 노력을 했느냐"고 꼬집었다.
이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쫓겨나고 힘들었나.
원죄 있는 분들이 방송장악을 운운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