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노후 원전 수명연장 안하겠다지만… 전세계 원전 64%가 30년 이상 가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설계수명 30~40년
일부는 조기에 폐쇄 검토
미국·유럽, 안전이상 없으면 50년 가까이 계속 운영
일부는 조기에 폐쇄 검토
미국·유럽, 안전이상 없으면 50년 가까이 계속 운영
정부는 지난 24일 노후 원자력발전소의 수명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에너지 전환 로드맵’을 발표했다. 국내 원전의 설계수명은 대부분 30~40년인데, 일부는 수명이 끝나기 전에라도 폐쇄를 검토하겠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하지만 세계 원전의 64%는 지어진 지 30년 이상 됐다. 해외에서는 안전에 이상만 없으면 수명 연장을 통해 원전을 계속 가동하는 게 일반적이다.
25일 세계원자력기구(IAEA) 원자로정보시스템(PRIS)에 따르면 가동 중인 세계 원전은 모두 448기고, 이 중 288기는 건설된 지 30년을 넘었다. 30~39년 된 원전이 201기고 40년 이상 된 원전도 87기가 가동하고 있다. 비율로 따지면 세계 원전의 64.3%가 지은 지 30년을 넘었다.
미국은 1969년에 완공돼 50년 가까이 된 오이스터 크릭, 나인마일포인트 1호기, 기나 원전 등 3기가 여전히 가동 중이다. 1970년대 초에 지은 드레스덴 2·3호기, 포인트비치 1·2호기 등도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 원전 99기 중 93기가 1960~1980년대에 건설됐다.
캐나다도 1971~1973년에 세운 피커링 1~4호기가 모두 상업운전을 하고 있다. 1976~1978년에 가동을 시작한 브루스 1~4호기도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영국의 힝클리포인트 B-1·2호기, 헌터스턴 B-1·2호기 역시 1976~1977년 건설된 원전이다. 15기의 원전을 보유한 영국은 2030년까지 16기를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2050년까지 탈(脫)원전을 하겠다고 선언한 스위스는 5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다. 이들 원전은 1969~1984년에 지어졌다. 상업운전을 한 기간이 벌써 33~48년이나 됐다.
반면 한국은 1977년 완공해 1978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 1호기가 지난 6월 가동을 영구정지했다. 2022년부터 2029년까지 매년 1~2기의 원전 수명이 끝나는데 정부는 이를 연장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원전 수명 연장 기준이 미국 유럽 등에 비해 까다로운데도 무조건 수명 연장을 하지 않겠다는 정부 방침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한국은 미국이 내세우는 기준 외에 IAEA가 요구하는 기준도 별도로 충족해야 연장 허가를 내준다”며 “선진국보다 까다로운 편”이라고 설명했다. 주 교수는 “미국은 수명 연장을 한 번에 20년간 해주는 데 비해 한국은 10년만 내준다”고 말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25일 세계원자력기구(IAEA) 원자로정보시스템(PRIS)에 따르면 가동 중인 세계 원전은 모두 448기고, 이 중 288기는 건설된 지 30년을 넘었다. 30~39년 된 원전이 201기고 40년 이상 된 원전도 87기가 가동하고 있다. 비율로 따지면 세계 원전의 64.3%가 지은 지 30년을 넘었다.
미국은 1969년에 완공돼 50년 가까이 된 오이스터 크릭, 나인마일포인트 1호기, 기나 원전 등 3기가 여전히 가동 중이다. 1970년대 초에 지은 드레스덴 2·3호기, 포인트비치 1·2호기 등도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 원전 99기 중 93기가 1960~1980년대에 건설됐다.
캐나다도 1971~1973년에 세운 피커링 1~4호기가 모두 상업운전을 하고 있다. 1976~1978년에 가동을 시작한 브루스 1~4호기도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영국의 힝클리포인트 B-1·2호기, 헌터스턴 B-1·2호기 역시 1976~1977년 건설된 원전이다. 15기의 원전을 보유한 영국은 2030년까지 16기를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2050년까지 탈(脫)원전을 하겠다고 선언한 스위스는 5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다. 이들 원전은 1969~1984년에 지어졌다. 상업운전을 한 기간이 벌써 33~48년이나 됐다.
반면 한국은 1977년 완공해 1978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 1호기가 지난 6월 가동을 영구정지했다. 2022년부터 2029년까지 매년 1~2기의 원전 수명이 끝나는데 정부는 이를 연장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원전 수명 연장 기준이 미국 유럽 등에 비해 까다로운데도 무조건 수명 연장을 하지 않겠다는 정부 방침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한국은 미국이 내세우는 기준 외에 IAEA가 요구하는 기준도 별도로 충족해야 연장 허가를 내준다”며 “선진국보다 까다로운 편”이라고 설명했다. 주 교수는 “미국은 수명 연장을 한 번에 20년간 해주는 데 비해 한국은 10년만 내준다”고 말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