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은 왜 사업 재개를 위한 논의조차 시도하지 않는 겁니까?”

정부의 탈(脫)석탄 정책으로 사업이 잠정 중단된 포스코에너지와 SK가스 등 석탄화력 발전사업자들은 20일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공사 재개 결정을 내리자 불만을 터뜨렸다.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석탄화력발전은 신고리 5·6호기 원전과 마찬가지로 과거 정부에서 허가받은 사업”이라며 “새 정부가 인허가 절차 중단이라는 꼼수를 통해 사업을 무산시키려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통해 포스코에너지의 삼척 포스파워 1·2호기와 SK가스·한국동서발전의 당진 에코파워 1·2호기 등 4기의 석탄화력발전소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과거 정부의 전력수급 계획에 따라 사업권을 획득했음에도 일방적으로 사업을 취소시키려 한다는 게 석탄화력 발전사업자들의 지적이다.

석탄화력발전소와 LNG발전소는 입지와 운영 방식이 달라 사실상 전환도 불가능하다. 석탄화력발전소는 석탄 수입을 위해 해안가에 들어서지만 가스를 원료로 쓰는 LNG는 가스 배관망이 잘 갖춰진 도심 인근에 짓는 게 유리하다. 해안가에 LNG발전소를 지으려면 가스 배관 비용에만 수천억원이 들어간다.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사업이 좌초되면 포스코에너지 5609억원, SK가스 4132억원 등 1조원에 가까운 매몰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산했다.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했던 삼척과 당진 주민들의 반발도 커지고 있다. 삼척시사회단체협의회와 지역 주민 500여 명은 지난 19일 서울 광화문에서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올 들어서만 17번째 열린 상경 집회다. 이들은 화력발전소가 원안대로 건설되지 않으면 지역경제 재건 희망이 사라져 ‘죽은 도시’가 된다는 의미에서 이날 상여를 메고 곡을 하며 청와대 인근까지 행진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