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치료제 '타그리소' 국내 철수 불안감에 호소문 발표한 암 환자들
폐암 표적항암제 '타그리소'의 건강보험 약가협상이 늦어지면서 국내 시장 철수 가능성까지 제기되자 한 환자단체가 성명을 냈다. 이들은 타그리소 제조사인 아스트라제네카에 추가 약값 인하를, 정부에 약제접근성 개선을 각각 요구했다.

전국 암 환자 커뮤니티인 암 정보 밴드의 운영자 김종환씨는 17일 호소문을 내고 "국민들의 약제 접근성이 보장되지 않는 지금의 제도를 개선해달라"고 밝혔다. 2015년 폐암 진단을 받았다는 김씨는 "폐암 표적항암제 '타그리소'가 국내 철수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다.

타그리소는 3세대 폐암 표적항암제다. 기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암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 지난해 5월 아스트라제네카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타그리소 국내 판매 승인을 받았다. 지난 8월 보험급여심사평가를 통과했다. 현재 건강보험공단과 아스트라제네카 간의 가격 협상만 남겨놓은 상태다.

이 약의 마지막 협상일은 지난 13일이었지만 건보공단과 아스트라제네카는 가격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협상 기한은 연장됐다. 건보공단 측은 이 약과 치료 환자군이 같은 한미약품의 올리타 약가가 낮게 책정된 것을 근거로 타그리소의 약값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타그리소의 경쟁 약물인 올리타 약가는 한달 기준으로 260만원가량으로 정해졌으나 아스트라제네카는 타그리소 약가를 올리타 보다 두 배 이상 높여달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환자단체 측은 "타그리소는 뇌 등 중추신경계에 전이된 환자를 위한 유일한 약"이라며 "타그리소가 국내에 없으면 이 환자들은 치료의 기회조차 없다"고 했다. 이들은 아스트라제네카에 "인내를 갖고 현재의 약가에 추가분을 인하해달라"며 "임상 기회를 늘리고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해달라"고 호소했다.

건보공단과 복지부에 적극적인 약가 협상을 당부했다. 이들은 "단순히 비용 때문에 하루가 급한 말기 폐암 환자의 유일한 치료 기회마저 저버려선 안된다"며 "타그리소의 급여협상이 결렬된다면 피해는 오롯이 환자들의 몫"이라고 했다. 또 "협상과정에서 환자단체가 참여를 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