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데뷰2017] 일상에 파고든 네이버 AI, 로봇이 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종 로봇 공개…송창현 CTO "삶의 가치 높이는 생활환경지능 연구"
AI 기반 웨어러블 기기 '아키' 선보여
연내 자율주행차 기술 레벨4 목표
AI 기반 웨어러블 기기 '아키' 선보여
연내 자율주행차 기술 레벨4 목표

생활환경지능은 일상생활에서 AI가 사람과 상황, 환경을 인지하고 이해해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나 행동을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네이버는 생활환경지능의 고도화를 목표로 로봇과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다양한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ADVERTISEMENT
송창현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1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데뷰(DEVIEW) 2017'의 기조연설에서 로보틱스를 포함해 검색, 브라우저, 자율주행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송 CTO는 "인간 생활 속에 자리 잡는 로봇을 목표로, 사람들이 살아가는 실제 공간에서 도움을 주는 로봇을 연구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조연설에서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더욱 다양해진 네이버의 로봇 라인업이었다. 네이버랩스는 지난해 데뷰에서 실내지도 제작 로봇 'M1'을 공개한 데 이어 올해 총 9종에 달하는 로봇을 공개했다.

ADVERTISEMENT
◆네이버랩스, 웨어러블 기기 '아키' 공개
네이버의 연구개발(R&D)자회사 네이버랩스의 개발 성과도 소개됐다.
ADVERTISEMENT

네이버가 지난 8월 선보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어웨이(AWAY)'는 내년 상반기 오픈 플랫폼으로 외부에 개방된다. 어웨이를 통해 서비스와 제품을 개발하고 싶은 기업 어디나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어웨이가 탑재된 애프터마켓 제품을 올해 일반인에게 판매될 예정이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데뷰는 국내외 정보기술(IT) 개발자들이 기술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장으로 자리 잡았다. 10년간 누적 참가자 수는 1만9900명에 달하며, 국내외 기업 및 학계 398명의 연사가 364개 세션에서 실전 경험과 노하우를 나눴다.
ADVERTISEMENT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