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전기료 인상 논란…野 "2020년 이후 20% 급등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해 받은 보고서를 토대로 기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년) 대신 탈원전 정책을 추진할 경우 2015~2035년 전력생산비용이 46.1%나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특히 2024년부터는 134.62원/㎾h으로 전기요금이 20%까지 오를 수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김 의원은 "새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전력생산 비용이 대폭 증가하고 전기요금까지 상승할 개연성이 있음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앞서 산업부는 지난 7월 31일 "2022년까지 탈원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2016년 대비 2022년 전기요금은 0.8% 인상된다는 분석을 당정협의에 제출한 바 있다.
곽 의원은 산업부의 당시 예측 자료와 같은 조건으로 계산하면 2022년 이후 전기요금이 뛰기 시작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ADVERTISEMENT
이찬열 국민의당 의원은 탈원전 정책을 추진한 독일의 예를 들어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 의원은 "독일은 2011년 탈원전 결정 이후 가정용은 2017년까지 23.1% 증가했고 산업용은 41.8%나 올랐다"며 "전기요금 인상률을 놓고 연구기관이나 전문가에 따라 다양한 전망이 나오는 만큼 정부가 체계적인 시나리오별 분석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유 의원은 "국내 발전시장의 경우 총제조원가에서 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66% 수준이며 여기에 감가상각비까지 포함할 경우 고정비 비중이 80%를 넘어선다"며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고 경제성장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도 임계점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