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9일(현지시간) 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소라’를 정식 출시했다. 지난 2월 공개한 지 10개월 만이다. 소라는 텍스트·이미지·동영상 등과 함께 명령어를 입력하면 영상을 만들어준다. 챗GPT 플러스나 챗GPT 프로 등 기존의 챗GPT 유료 구독자들은 소라의 자체 도메인 ‘소라닷컴’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한국은 이번에 1차 출시국에 포함됐다. 영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 등 일부 국가는 출시국 명단에서 제외됐다. 영상은 최대 20초 길이로 제작할 수 있다. 지난 2월 발표 당시에는 1분 정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성능과 확장성 간 균형을 맞췄다는 설명이다. 이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온라인으로 중계된 소라 시연에서 두 이미지를 결합해 동영상을 생성하는 ‘블렌드’ 기능 등을 직접 선보이기도 했다.로한 사하이 오픈AI 엔지니어링 리드는 “소라와 관련한 법적 문제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용자들의 창의적 표현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자체 영상 생성 인공지능(AI) '소라(Sora)'를 공식 출시한다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이용자는 소라에 간단한 명령어와 이미지, 동영상을 입력하면 최대 1분 길이의 사실적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러 캐릭터와 특정 유형의 동작, 복잡한 장면 등이 담긴 동영상도 생성 가능하다.지난 2월 '소라'를 처음 공개한 이후 AI 영상 시장엔 파장이 일었다. 오픈AI는 일부 이용자들 대상으로 이 모델을 테스트한 뒤 공개 10개월 만에 일반인 이용자 대상으로도 공식 출시됐다.오픈AI는 챗GPT 플러스 및 프로 유료 이용자들은 추가 비용 없이 누구나 소라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챗GPT 플러스·프로 구독자도 이날부터 소라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단 유럽과 영국 등 일부 국가는 제외됐는데 이들 지역에서 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출시 직후부터 '소라'는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소라'에는 이용자가 몰려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다. 오픈AI는 알림창에 "현재 트래픽이 심해 소라 계정 생성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했다"고 공지했다.오픈AI가 '소라'를 본격 출시하면서 업계 안팎에선 AI 영상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메타·구글도 각각 지난 10월과 5월 동영상 생성 AI 서비스 '무비 젠(Movie Gen)'과 '비오(VEO)'를 공개하며 AI 영상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이외에 '런웨이' '피카랩스' 같은 스타트업도 영상 생성 AI를 발표했다.로한 사하이 오픈AI 소라 제품 책임자는 "소라와 관련한 법적 문제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용자들의 창의적 표현
국정혼란 속에 국가 신뢰도 하락, 고(高)환율, 투자위축 문제가 동시에 터지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도 깊은 그늘이 드리웠다. 지난 2~3년간 이어진 역대급 바이오 투자 빙하기가 조금씩 풀리던 상황에 다시 악재가 쏟아지자 업계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1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이달 중순 출범할 예정이었던 범국가 차원의 바이오 컨트롤타워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출범 시기조차 잡지 못한 채 난항을 겪고 있다.지난달 제정된 국가바이오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국가바이오위원회 위원장은 대통령이 맡는다.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는 부위원장이 직무를 대행하지만 부위원장도 위원장인 대통령이 지명해야 한다.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을 논의하고 있는 현 단계에선 사실상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및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업계에선 해석했다.국가바이오위원회는 대통령 직속으로 바이오 정책, 규제, 투자 등에 관한 사항을 전반적으로 심의할 예정이었다. 위원회는 2027년 6월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후 이어진 정치적 혼란 탓에 출범 여부조차 불투명해졌다.범국가 차원의 바이오 컨트롤타워 설치는 업계 숙원이었다. 아쉬움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이어지는 이유다.경기 판교의 한 바이오 기업 대표는 "신약 개발은 연구개발(R&D)부터 임상, 허가까지 민관이 호흡을 맞춰 일하는 것이 중요한데 소통의 장이 또 하나 사라진듯 해 허탈하다"고 했다.그는 "국가바이오위원회 설치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