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중소·벤처기업 전용 주식시장인 코넥스가 출범한 지 4년이 지났지만 거래량이 적어 시장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투자자들의 진입 문턱을 낮추는 동시에 거래가 될 만한 종목들이 많이 상장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방서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올 들어 코넥스 시장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1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이 감소했습니다.시장의 유동성을 가늠하는 지표인 매매회전율도 같은 기간 비중이 40% 가량 줄었습니다.전문가들은 코넥스 시장 부진의 이유로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주식 자체가 많지 않다는 점을 꼽습니다.코스닥 상장을 염두에 둔 대주주 등이 지분율을 지나치게 높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실제로 코넥스 기업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 등이 보유한 주식은 전체 상장주식의 70% 수준으로, 실제 유통 가능한 주식은 30% 정도에 불과합니다.심지어 일부 상장사의 경우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100%로 발행주식 전량을 소유해 사실상 상장이 무의미할 정도입니다.시장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로 지적됩니다.코넥스 종목에 투자하려면 최저 예탁금 1억원을 납부해야 하거나 연간 납입가능금액 3천만원의 코넥스 소액투자 전용계좌를 사용해야 하는 등 절차가 필요합니다.코넥스가 벤치마크로 삼은 해외 시장들이 초창기 유동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투자자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규제를 푼 것을 감안하면 시장 흐름에 역행하는 셈입니다.이에 따라 코넥스가 코스닥으로의 단순 통과 경로가 아닌 하나의 자체 시장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진정한 성장 사다리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단순히 상장기업 수만 늘리기 보다는 주식 분산 요건을 도입하고 개인투자자 진입 문턱을 낮춰 거래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실제로 캐나다 토론토 벤처거래소(TSX-V), 홍콩의 성장기업시장(GEM), 싱가포르의 캐털리스트 등의 경우 상장시 외부주주에게 15~25% 가량 지분을 분산시켜야 합니다.투자자들을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 공시 의무도 오히려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현재 코넥스 기업은 1년에 한 번 사업보고서만 내면 되며, 공시 항목도 29개로 다른 시장에 비해 적습니다.<인터뷰>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적극적인 상장 기업 발굴이라든지 코넥스 상장 기업들이 얼마나 자금 조달을 성공적으로 해내고 있는지 전환사채나 BW나 이런 것들의 발행을 통해 얼마나 성공적으로 자금 조달을 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조금 더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이와 함께 될성부른 기업을 찾아 코넥스 시장으로 끌고 들어와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코스닥으로의 이전 상장을 돕는 지정자문인의 역량 확대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한국경제TV 방서후입니다.방서후기자 shbang@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남경필 아들 체포 CCTV 공개, 즉석만남하려다 위장경찰에 덜미 ㆍ김규리, ‘이제야’ 김민선…MB블랙리스트 최대 피해자 된 배경은?ㆍ강경준♥장신영, ‘동상이몽2’서 프러포즈 현장 공개…‘강블리’ 탄생 예고ㆍ이지혜, 결혼 앞둔 SNS엔 `♥` 가득 "너무 좋아요"ㆍ송중기♥송혜교, 美 샌프란시스코서 웨딩촬영…사진작가는 홍장현ⓒ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