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향기] 돌아온 소리길 '서편제'를 다시 만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척박한 제작환경 속 탄생한 뮤지컬
세련된 스타일·현장성이 매력포인트
원종원 <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뮤지컬 평론가 jwon@sch.ac.kr >
세련된 스타일·현장성이 매력포인트
원종원 <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뮤지컬 평론가 jwon@sch.ac.kr >
흰 상여가 소복을 입은 배우들에게 들려 나온다. 아버지의 죽음에 딸은 목 놓아 곡(哭)을 하기 시작한다. 통곡하는 여인의 두 뺨으로 눈물이 흐르면 어느새 울음은 우리의 전통 자락으로 뒤바뀐다. 득음의 순간이다. 뮤지컬 ‘서편제’에서 만나는 감동이다.
요즘 젊은 세대는 소설은커녕 영화도 모르는 경우가 흔하다. 이야기가 세상에 첫선을 보인 것은 1976년 이청준의 소설을 통해서다. 남도를 배경으로 소리하는 여인의 사연을 다뤘다. 활자를 영화로 탈바꿈시킨 것은 임권택 감독이다. 신예 국악인 오정해를 일약 국민배우로 등극시킨 화제작이었다. 멀리 구불거리는 길을 걸으며 소리하는 아버지와 오누이의 모습이 담긴 롱 테이크 기법의 영화장면은 지금도 전설처럼 회자되는 한국 영화사의 명장면이다.
뮤지컬로 제작된 것은 2010년이다. 한국 뮤지컬계의 블루칩이라는 이지나 연출가가 특유의 색과 선을 더해 소설과 영화를 적절히 뒤섞어 무대로 구현해내는 실험을 선보였다. 현장예술인 공연은 다른 문화산업 장르에 비해 음악을 즐기기에 적합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 우리 소리를 찾아가는 여정이라는 주제는 무대라는 공간에서 라이브로 구현되며 대중이 이해하는 데 더없이 좋은 환경으로 변화됐다. 영화를 보고 무대를 찾아도 다시 새로운 감상이 느껴지는 배경이자 이유다.
국악이 주요 소재인 작품이지만, 무대에 등장하는 음악은 다양한 장르가 총망라돼 있다. 맨발의 디바 이은미의 노래들로 유명한 대중음악 작곡가 윤일상이 제작진으로 가세하며 음악적 경계를 확장한 덕이다. ‘살다 보면 살아진다’는 노래는 바로 그가 만들어낸 물건이다. 극장을 나서며 흥얼거리는 관객들의 모습에서 다시 한번 윤일상 작곡가의 탁월한 대중적 감각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요즘 ‘팬텀 싱어’의 심사위원으로 맹활약 중인 김문정 음악감독의 세련된 스타일도 이 작품의 손꼽히는 매력 포인트다.
턴테이블 무대의 활용도 인상적이다. 무대는 영상에 비해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많다는 것에 착안해 ‘서편제’는 원형으로 돌아가는 무대장치를 통해 공간을 창출해내는 별미를 덧붙였다. 그 덕분에 무대에서도 소리길을 걷는 주인공 일행의 모습이 공간감 넘치게 구현된다. 배우는 열심히 걷는데, 위치는 늘 무대 중앙에 있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다. 무대라서 더 흥미로운 이미지들이다.
영화에 오정해가 있었다면 2017년 앙코르 무대에는 이자람과 차지연, 이소연이 타이틀롤을 맡아 열연을 펼친다. 여주인공마다 무대의 맛이 조금씩 다르다. 소리와 감성에서는 이자람이, 정서적 교류와 처연함에서는 차지연이, 젊은 소리꾼의 방황이라는 공감대에서는 이소연이 맛깔스러운 연기를 선보인다. 특히 장르를 넘나들며 다양한 실험과 도전을 선보이고 있는 이자람의 무대는 그야말로 절로 탄성이 새어나올 정도로 만족감이 높다. 마니아라면 세 배우의 무대를 모두 비교하며 감상해보라 추천하고 싶을 정도다.
초연 제작자의 안타까운 죽음도 작품만큼이나 서럽고 한스럽다. 창작 뮤지컬 한 편 만들기가 얼마나 고되고 힘든 여정인지 생각하면 숙연한 마음도 감출 수 없다. 아직도 ‘제작자만’ 어려움을 겪는 뮤지컬계 공연환경은 크게 나아진 바가 없다. 제도적으로 문화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봐야 한다. 척박한 현실에서 그래도 좋은 무대를 만들어내는 제작자들의 헌신이 새삼 고맙고 애틋하다. 멋진 창작 뮤지컬 ‘서편제’의 흥행을 기원하는 이유다.
원종원 <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뮤지컬 평론가 jwon@sch.ac.kr >
요즘 젊은 세대는 소설은커녕 영화도 모르는 경우가 흔하다. 이야기가 세상에 첫선을 보인 것은 1976년 이청준의 소설을 통해서다. 남도를 배경으로 소리하는 여인의 사연을 다뤘다. 활자를 영화로 탈바꿈시킨 것은 임권택 감독이다. 신예 국악인 오정해를 일약 국민배우로 등극시킨 화제작이었다. 멀리 구불거리는 길을 걸으며 소리하는 아버지와 오누이의 모습이 담긴 롱 테이크 기법의 영화장면은 지금도 전설처럼 회자되는 한국 영화사의 명장면이다.
뮤지컬로 제작된 것은 2010년이다. 한국 뮤지컬계의 블루칩이라는 이지나 연출가가 특유의 색과 선을 더해 소설과 영화를 적절히 뒤섞어 무대로 구현해내는 실험을 선보였다. 현장예술인 공연은 다른 문화산업 장르에 비해 음악을 즐기기에 적합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 우리 소리를 찾아가는 여정이라는 주제는 무대라는 공간에서 라이브로 구현되며 대중이 이해하는 데 더없이 좋은 환경으로 변화됐다. 영화를 보고 무대를 찾아도 다시 새로운 감상이 느껴지는 배경이자 이유다.
국악이 주요 소재인 작품이지만, 무대에 등장하는 음악은 다양한 장르가 총망라돼 있다. 맨발의 디바 이은미의 노래들로 유명한 대중음악 작곡가 윤일상이 제작진으로 가세하며 음악적 경계를 확장한 덕이다. ‘살다 보면 살아진다’는 노래는 바로 그가 만들어낸 물건이다. 극장을 나서며 흥얼거리는 관객들의 모습에서 다시 한번 윤일상 작곡가의 탁월한 대중적 감각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요즘 ‘팬텀 싱어’의 심사위원으로 맹활약 중인 김문정 음악감독의 세련된 스타일도 이 작품의 손꼽히는 매력 포인트다.
턴테이블 무대의 활용도 인상적이다. 무대는 영상에 비해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많다는 것에 착안해 ‘서편제’는 원형으로 돌아가는 무대장치를 통해 공간을 창출해내는 별미를 덧붙였다. 그 덕분에 무대에서도 소리길을 걷는 주인공 일행의 모습이 공간감 넘치게 구현된다. 배우는 열심히 걷는데, 위치는 늘 무대 중앙에 있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다. 무대라서 더 흥미로운 이미지들이다.
영화에 오정해가 있었다면 2017년 앙코르 무대에는 이자람과 차지연, 이소연이 타이틀롤을 맡아 열연을 펼친다. 여주인공마다 무대의 맛이 조금씩 다르다. 소리와 감성에서는 이자람이, 정서적 교류와 처연함에서는 차지연이, 젊은 소리꾼의 방황이라는 공감대에서는 이소연이 맛깔스러운 연기를 선보인다. 특히 장르를 넘나들며 다양한 실험과 도전을 선보이고 있는 이자람의 무대는 그야말로 절로 탄성이 새어나올 정도로 만족감이 높다. 마니아라면 세 배우의 무대를 모두 비교하며 감상해보라 추천하고 싶을 정도다.
초연 제작자의 안타까운 죽음도 작품만큼이나 서럽고 한스럽다. 창작 뮤지컬 한 편 만들기가 얼마나 고되고 힘든 여정인지 생각하면 숙연한 마음도 감출 수 없다. 아직도 ‘제작자만’ 어려움을 겪는 뮤지컬계 공연환경은 크게 나아진 바가 없다. 제도적으로 문화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봐야 한다. 척박한 현실에서 그래도 좋은 무대를 만들어내는 제작자들의 헌신이 새삼 고맙고 애틋하다. 멋진 창작 뮤지컬 ‘서편제’의 흥행을 기원하는 이유다.
원종원 <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뮤지컬 평론가 jwon@sch.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