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축협회 리프 국장 "美ㆍ日 요격능력 제한적이어서 사실상 불가능"
IRBM 시험발사 요격은 더 어려워…"외교만이 유일한 해결책"


미국은 북한의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등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밑의 탄도미사일을 이론적으로는 요격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제약이 많아 어려우므로 외교적인 해결책이 최선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미 군축협회 소속 미사일 방어 전문가인 킹스턴 리프 국장은 30일(현지시간) "패트리엇 3, SM-3 IAㆍIB 함대공 미사일을 장착한 이지스 순양함과 구축함,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등 미국과 일본의 지역 미사일 요격체계는 방어망 내에서 비행하는 소수의 미사일만 요격할 수 있으므로 요격 역량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군축ㆍ위협감축 정책 담당인 리프 국장은 미 군사 안보 전문매체 더 내셔널 인터레스트(TNI)와의 회견에서 "북한이 29일 쏜 화성-12형처럼 북한이 시험 발사한 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로 훨씬 어렵다"고 주장했다.
"북한 탄도미사일 요격할 방법이 없다"… 미국 군사 전문가
그는 "미국의 탄도미사일 방어체계(BMD)는 외양(外洋 open ocean) 방어 목적으로 설계나 배치된 것이 아니다"며 "더구나 일본의 경우 사드가 배치되지 않은 데다 패트리엇 미사일은 속도가 늦은 단거리미사일을 종말 단계에서 요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리프 국장은 특히 "ICBM급이 아닌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역내에 배치된 이지스함에 장착된 SM-3 함대공 미사일로 요격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며 "그러나 이지스함이 미사일을 해상에서 요격하려면 정확한 시간과 장소에 있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는 매우 어렵다"고 강조했다.

더구나 미군 미사일방어국(MDA) 자료에 따르면 이지스함에 장착된 기존의 SM-3로 IRBM 요격시험을 단 한 차례만 했기 때문에 신뢰도에서 떨어진다.

반면 미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발 중인 개량형 SM3-2A는 속도가 빨라 신뢰도가 크지만, 아직 실전 배치되지 않은 상태다.

"북한 탄도미사일 요격할 방법이 없다"… 미국 군사 전문가
이에 따라 기존의 SM-3로는 잘해야 중간단계에 비행하는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을 뿐이라는 설명이다.

리프 국장은 "SM-3로 IRBM이나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또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요격할 수 없다"며 "이 미사일이 상승단계로 접어들면 SM-3의 요격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중간단계 요격을 위해서는 사전 경보를 얼마나 했는지, 몇 척의 이지스함을 어디에 배치했는지 등이 중요하다"며, 미국과 일본이 '화성-12형'과 같은 IRBM 시험발사를 요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리프 국장은 "대도시와 군사 시설에 대한 SRBM이나 MRBM 공격에 대비하려고 동해에 배치한 이지스함으로 일본 북부 상공을 비행하는 북한의 IRBM을 요격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지스함이 탄도미사일 비행경로나 부근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SM-3에 의한 중간단계 요격은 불가능하다"며 "SM-3에 의한 종말 단계 요격시험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는 데다 북한 미사일이 정확히 어디로 떨어지는지를 말하기 전에는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결국, 이론적으로만 가능하다는 얘기다.
"북한 탄도미사일 요격할 방법이 없다"… 미국 군사 전문가
리프 국장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요격에 애를 쓰는 것이 오히려 비생산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종류의 요격체계를 앞세워 (북한의) 비위협적인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요격한다고 하면 북한이 이를 매우 심각한 도발 행위로 간주할 것은 물론이고 상대에게 아주 귀중한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결과만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리프 국장은 "더구나 요격에 실패하면 미국으로서는 창피를 당할 뿐만 아니라 방어역량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것이 뻔하다"고 말했다.

그는 설사 값비싼 미사일로 요격하더라도 향후 시험발사 미사일도 요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크게 높일 것인데 향후엔 실패할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북한 탄도미사일 요격할 방법이 없다"… 미국 군사 전문가
리프 국장은 결국 (미국이나 일본의) 미사일방어시스템은 (북한 등 적이) 기만체(가짜 미사일)를 더 많이 섞어 발사하거나 기만체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 대응조치를 취하거나 그냥 미사일 수량으로 방어시스템을 압도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런데 요격미사일은 매우 비싼데다 날아오는 목표물을 맞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선여러 발을 쏴야 하는 등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교적 해결책만이 북한 문제를 풀 수 있다고그는 덧붙였다.

한편 미 해군은 화성-12형 발사 하루만인 30일 하와이에서 신형 장거리 함대공미사일 SM-6을 통한 IRBM 요격시험에 성공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선한 기자 sh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