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업무보고 전 예고 없이 들러…취임후 세종청사 첫 방문
복지장관에 "공무원 복지 책임 못지면 국민복지 책임 못진다"
다둥이 아빠 '육아휴직급여 인상' 감사에 "대통령 덕분" 농담도
복지부 깜짝방문 문재인 대통령… 과로순직 여 사무관 자리 '물끄러미'
25일 오후 보건복지부가 들어서 있는 정부 세종청사 10동이 갑자기 떠들썩해졌다.

이날 기획재정부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게 돼 있던 문재인 대통령이 업무보고에 앞서 예고도 없이 복지부 복지정책관실을 방문한 것이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날 방문이 문 대통령이 취임한 후 처음 정부 세종청사를 방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뒤늦게 문 대통령 방문 소식을 들은 공무원들은 복도로 몰려나와 문 대통령과 반갑게 인사하고 '셀카'를 찍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기초생활보장 취약계층 지원, 노숙인 복지, 취약계층 의료급여 등 격무로 유명한 이곳을 '깜짝 방문'해서 직원들을 격려할 참이었다.

복지부 내에서도 극소수 간부만 알고 있었다고 한다.

복지정책관실을 행선지로 고른 또 다른 이유는 올해 1월 세 아이를 둔 '워킹맘'으로 일하다가 휴일 출근 중 청사에서 순직한 김 모 사무관이 근무한 부서가 이곳이기도 해서다.

당시 문 대통령은 SNS에 "과로로 숨진 여성 공무원의 소식에 또 한 번 가슴이 무너진다"고 적어 위로의 마음을 표한 바 있다.

복지정책관실로 들어선 문 대통령은 직원들의 안내를 받아 김 사무관이 앉아서 일하던 자리로 향했다.

문 대통령은 침통하고 무거운 표정으로 한동안 그곳을 뜨지 못한 채 물끄러미 자리를 쳐다봤다.

김 사무관과 일하던 동료들과 마주앉은 문 대통령은 "업무보고를 받으러 내려오는 길에 김 사무관 자리를 들러보고 싶었다"며 "그나마 이른 시일 내 순직으로 인정돼 다행스러운데 같은 부서 분들이 가슴이 아플 것 같다"고 위로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가 복지 정책에 관심을 쏟고 있어서 업무가 더 늘지 않았을까 걱정된다"면서 "여러분에게 짐이 되지 않을까 해서 미안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다"고 밝혔다.

직원들은 김 사무관의 순직 후 휴일 근무를 줄이고 유연 근무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배석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복지 공무원들 복지를 책임지지 못 하면 국민복지를 어떻게 책임지겠나"라고 웃으면서 말하고 "국·과장님들, 직원들 연차 휴가 다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실 건가요"라고 묻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한 직원으로부터 '다른 부처에 비해 인원이 20∼30%가 부족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복지국가로 가면서 복지 업무가 늘어나서 그런 것 같다"며 직무평가 분석 등으로 인력을 재배치하는 방안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비교적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이야기가 오간 가운데 자신을 '골드미스'라고 소개한 한 직원은 "임신과 육아를 하는 직원뿐만 아니라 저처럼 미혼인 직원도 휴식 있는 삶을 함께할 수 있게 배려해달라"고 건의했다.

문 대통령은 세 자녀를 둔 다른 남성 직원의 이야기를 들을 때는 "아빠들의 육아휴직 사용 실태는 어떤가"라며 남성 육아휴직에 관심을 보였다.

이 직원이 '(육아휴직 급여가) 150만원으로 인상된다는 얘기를 듣고 마음이 놓였다'고 하자 문 대통령은 "대통령 덕분이다"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상급자가 싫어하지 않더라도 '내가 가면 다른 동료들이 일을 떠안아야 한다'고 생각해 휴직하기가 쉽지 않다"며 "등을 떠밀어서라도 육아휴직을 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에게 "아이 세 명부터는 출산부터 졸업까지 책임지겠다고 한 제 공약을 기억하셔야 한다"며 "적당한 시기에 아빠의 육아휴직 사용률도 부처별로 받아보라"고 지시했다.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kj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