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가구 수가 2023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한다. 13년 뒤인 2030년에는 모든 시·도에서 혼자 사는 1인가구가 가장 일반적인 가구 형태가 된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장래가구추계 시·도편: 2015~2045’에서 내다본 한국의 미래 가구 모습이다. 고령화와 저출산 여파로 인구가 감소하면서 2044년부터 전체 가구도 줄어들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인구유출이 심한 서울은 가구 수 감소 시점이 더 이를 것이란 분석이다.
서울 가구 수 2022년 정점

2015년 기준 한국의 총가구 수는 1901만 가구다. 통계청은 총가구 수가 2020년 2000만 가구를 돌파해 2043년 2234만 가구에 달했다가 감소세로 돌아서 2045년에는 2232만 가구로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총인구가 2031년 5296만 명에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선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구 수 정점이 인구 정점보다 12년가량 늦게 오는 셈이다.

서울의 가구 수는 2015년 377만 가구에서 2022년 379만 가구까지 늘어났다가 2023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2045년에는 365만2000가구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은 조사 대상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2015년 대비 2045년 가구 수가 감소하는 곳이 될 것으로 추정됐다.

대구 등 6개 시·도도 2045년 이전에 가구 수가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됐다. 대구와 광주는 2035년, 부산과 울산은 2036년, 경기와 경남은 2042년 가구 수 정점을 맞는다.

나머지 10개 시·도는 2045년까지 가구 수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2015년 7만3000가구에 불과했던 세종은 2045년 24만4000가구로 235.4% 급증한다. 제주도 같은 기간 21만8000가구에서 35만9000가구로 64.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5년 전인 2012년 추계와 비교해 보면 전체 가구 수나 서울의 가구 수가 정점에 도달하는 시점이 앞당겨졌다”며 “저출산으로 인구 감소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구 수 역시 더욱 빨리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2045년 모든 지역 1인가구 ‘대세’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가 증가하지만 그 속도는 시·도별 출산율과 고령화 정도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2015년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경남·제주 등 11곳에서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은 부부가 자녀와 함께 사는 ‘부부+자녀 가구’였다. 나머지 시·도는 이미 1인가구가 가장 많았다.

13년 뒤인 2030년에는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이 될 전망이다. 2045년에는 모든 시·도의 1인가구가 평균 36.3%에 달한다.

2015년 1인가구 비율이 31.2%로 가장 높았던 강원은 2045년이면 1인가구가 40.9%까지 늘어난다. 같은 기간 충북은 28.9%에서 40.6%로 상승해 1인가구 비중 증가폭이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됐다.

1인가구화는 주로 고령화와 맞물려 진행될 것이란 분석이다. 세종·인천·경기 등 6개 시·도에서 2045년 60세 이상 1인가구가 2015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다.

‘부부+자녀 가구’ 비중은 모든 시·도에서 급감한다. 2045년 ‘부부+자녀 가구’ 비중은 세종(19.4%)이 가장 높고, 전남(9.3%)이 가장 낮을 전망이다. 울산은 2015~2045년 사이에 비중이 39.1%에서 19.3%로 낮아져 하락폭이 가장 컸다. 가장 하락폭이 작은 세종에서도 13%포인트 감소가 예상됐다.

2045년 가구원 수 세종이 1등

평균 가구원 수와 연령분포 역시 큰 변화가 예상된다. 2015년 전체 가구 평균 가구원 수는 2.53명이었지만 2045년에는 2.1명까지 줄어든다. 2015년에는 경기(2.67명)가 가장 많았고 강원·전남·경북이 2.36명으로 가장 적었다. 2045년에는 세종이 2.25명으로 가장 많고 강원(1.89명)이 가장 적을 것으로 추정됐다.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15~2045년 19.3%에서 47.7%까지 급증한다. 2045년이 되면 세종(38.9%)을 뺀 모든 시·도에서 고령자 가구 비중이 40%를 초과한다. 특히 전남(60.8%)은 고령자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