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개편안 확정 앞두고 대입 관련 제안 쏟아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학 범위 줄이고 통합형 출제"…"학종·내신도 개선해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방안 확정을 앞두고 전문가들이 다양한 대입제도 개선안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가 이달 초 제시한 단계적 절대평가 전환(1안)과 전면 절대평가(2안) 시안에 대해 보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교육부는 21일 충남대에서 수능 개편 방향에 대한 전문가와 학부모·시민단체의 의견을 듣는 공청회를 열었다.
조정기 순천향대 수학과 교수는 "절대평가로의 개편 방향은 옳지만 성취평가제 등 같이 추진해야 할 제도의 시행 여건을 마련하지 못한 채 전면 도입하는 것은 수험생과 대학에 혼란을 불러올 것"이라며 단계적 절대평가 전환을 제안했다.
그는 다만, 융·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수학영역의 범위를 줄이고 국어나 영어처럼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절대평가 반대 입장을 밝힌 권기창 충북학교학부모연합회장은 "교과과정이 개편되면 가장 민첩하게 대응하는 곳이 사교육 시장이고, 대입제도 변경의 최대 수혜자도 입시학원"이라며 "절대평가로 수능이 무력화되면 수능·내신·학생부 등 모든 전형요소가 학생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절대평가와 연계해야 한다면 일부 과목 시범운영으로 성과와 문제점을 검토한 뒤 전면 시행으로 가야 혼란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전 과목 절대평가를 촉구한 이재하 중일고 교사는 "고교 교육이 수능 상대평가에 종속돼 학생들에게 무한 경쟁을 강요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에 상치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수능 평가 방식이 고등학생으로서 이수해야 할 학력 성취 수준을 진단하는 절대평가로 바뀔 때 고교는 수능에 짓눌리지 않고 학생들의 꿈과 끼를 반영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 '더미래연구소'와 당내 개혁성향 의원 모임 '더좋은미래'도 이날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공정한 입시제도 마련을 위한 교육개혁' 토론회를 열었다.
발제를 맡은 이 범 교육평론가는 현 정부가 대학 입학전형이라는 큰 틀 대신 단순히 수능 평가방식에 초점을 맞춘 개편을 추진하고 있어 2008학년도 수능 등급제 시행의 실패를 답습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범 평론가는 "내신은 '등급제 절대평가', 수능은 원점수를 알려주는 '점수제 절대평가'로 변별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수능에서 부분적으로 상대평가를 유지해도 선택과목은 절대평가해 '기피 과목'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학생부에서 경시대회와 자격증·인증 기재란을 폐지하고 교과 영역 비중을 높이는 등 학종도 개선해야 한다"며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고 고3의 경우 학생부반과 수능반을 분리하는 것이 낫다"고 제언했다.
토론자로 나선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정부의 전면 절대평가 시안인) 2안을 수정해 국어·영어·수학영역 시험 범위를 공통과목(1학년 수준)으로 제한해야 한다"며 "동점자는 고교 2∼3학년 선택과목 가운데 전공 적합성에 맞는 과목의 내신을 반영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교육부의 수능 개편 준비가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가 2018학년도로 예정된 고교 1학년 학생의 새 교육과정(2015 교육과정) 적용 시기를 1년 늦추고, 2022학년도 대입전형 설계를 다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기정 서울 미양고 교사는 수능보다 더 시급한 교육개혁의 핵심으로 '내신 절대평가를 전제로 하는 고교학점제 시행'을 꼽았고, 이종태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21세기 교육연구소 소장은 현재의 대입제도 개편 논의를 잠정 중단하고 새 교육과정의 시행 일정을 늦춰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수능 개편안 확정을 위한 의견수렴 작업을 마무리하고 31일 확정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세종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cindy@yna.co.kr
특히 교육부가 이달 초 제시한 단계적 절대평가 전환(1안)과 전면 절대평가(2안) 시안에 대해 보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교육부는 21일 충남대에서 수능 개편 방향에 대한 전문가와 학부모·시민단체의 의견을 듣는 공청회를 열었다.
조정기 순천향대 수학과 교수는 "절대평가로의 개편 방향은 옳지만 성취평가제 등 같이 추진해야 할 제도의 시행 여건을 마련하지 못한 채 전면 도입하는 것은 수험생과 대학에 혼란을 불러올 것"이라며 단계적 절대평가 전환을 제안했다.
그는 다만, 융·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수학영역의 범위를 줄이고 국어나 영어처럼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절대평가 반대 입장을 밝힌 권기창 충북학교학부모연합회장은 "교과과정이 개편되면 가장 민첩하게 대응하는 곳이 사교육 시장이고, 대입제도 변경의 최대 수혜자도 입시학원"이라며 "절대평가로 수능이 무력화되면 수능·내신·학생부 등 모든 전형요소가 학생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절대평가와 연계해야 한다면 일부 과목 시범운영으로 성과와 문제점을 검토한 뒤 전면 시행으로 가야 혼란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전 과목 절대평가를 촉구한 이재하 중일고 교사는 "고교 교육이 수능 상대평가에 종속돼 학생들에게 무한 경쟁을 강요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에 상치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수능 평가 방식이 고등학생으로서 이수해야 할 학력 성취 수준을 진단하는 절대평가로 바뀔 때 고교는 수능에 짓눌리지 않고 학생들의 꿈과 끼를 반영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 '더미래연구소'와 당내 개혁성향 의원 모임 '더좋은미래'도 이날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공정한 입시제도 마련을 위한 교육개혁' 토론회를 열었다.
발제를 맡은 이 범 교육평론가는 현 정부가 대학 입학전형이라는 큰 틀 대신 단순히 수능 평가방식에 초점을 맞춘 개편을 추진하고 있어 2008학년도 수능 등급제 시행의 실패를 답습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범 평론가는 "내신은 '등급제 절대평가', 수능은 원점수를 알려주는 '점수제 절대평가'로 변별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수능에서 부분적으로 상대평가를 유지해도 선택과목은 절대평가해 '기피 과목'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학생부에서 경시대회와 자격증·인증 기재란을 폐지하고 교과 영역 비중을 높이는 등 학종도 개선해야 한다"며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고 고3의 경우 학생부반과 수능반을 분리하는 것이 낫다"고 제언했다.
토론자로 나선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정부의 전면 절대평가 시안인) 2안을 수정해 국어·영어·수학영역 시험 범위를 공통과목(1학년 수준)으로 제한해야 한다"며 "동점자는 고교 2∼3학년 선택과목 가운데 전공 적합성에 맞는 과목의 내신을 반영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교육부의 수능 개편 준비가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가 2018학년도로 예정된 고교 1학년 학생의 새 교육과정(2015 교육과정) 적용 시기를 1년 늦추고, 2022학년도 대입전형 설계를 다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기정 서울 미양고 교사는 수능보다 더 시급한 교육개혁의 핵심으로 '내신 절대평가를 전제로 하는 고교학점제 시행'을 꼽았고, 이종태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21세기 교육연구소 소장은 현재의 대입제도 개편 논의를 잠정 중단하고 새 교육과정의 시행 일정을 늦춰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수능 개편안 확정을 위한 의견수렴 작업을 마무리하고 31일 확정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세종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cind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