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 인하 기싸움에 뒷전 밀린 알뜰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표류하는 망 임대료 산정
국정위 6월 인하 발표에도 두달째 협상 지지부진
알뜰폰 업체 '깜깜이 경영'
서비스 원가 파악 못해 하반기 사업 계획도 못짜
국정위 6월 인하 발표에도 두달째 협상 지지부진
알뜰폰 업체 '깜깜이 경영'
서비스 원가 파악 못해 하반기 사업 계획도 못짜
정부가 약속한 망(網) 임대 사용료 인하 등 알뜰폰 지원대책 시행이 늦어지면서 알뜰폰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와 통신 3사가 선택약정할인율 상향 조정 등 통신비 인하 정책을 놓고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면서 알뜰폰 망 임대 사용료 협상은 기약 없이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한 알뜰폰 업체는 “서비스 원가나 다름없는 망 임대 사용료를 파악할 수 없어 하반기 사업계획도 못 짜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지지부진한 협상
문재인 정부의 인수위원회 역할을 한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지난 6월 발표한 통신비 절감대책에 알뜰폰 망 임대 사용료 인하 방안을 담았다. 지난해 317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알뜰폰 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망 임대 사용료란 알뜰폰 사업자가 통신 3사의 이동통신망을 빌려 쓰고 내는 돈이다. 알뜰폰이 제공하는 4세대(LTE) 통신 서비스의 망 임대 사용료 산정은 수익배분형이다. 가입자로부터 받는 요금 수익을 통신사와 나눠 갖는 방식이다. 예컨대 현재 5만~6만5000원 요금제에선 55%(알뜰폰) 대 45%(통신사)로 수익을 배분한다. 5만원 이하 요금제에선 60%(알뜰폰) 대 40%(통신사) 비율이다. 국정기획위는 알뜰폰 사업자가 가져가는 수익 비율을 이달에 10%포인트 높이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매년 상반기(4~6월)에 알뜰폰 사업자들과 함께 망 도매제공 의무사업자인 SK텔레콤과 협상을 벌여 망 임대 사용료를 발표했다. 하지만 올해 망 임대 사용료 협상은 지지부진하다. 정부가 다음달 1일 도입 예정인 선택약정할인율 상향 조정 대책에 올인하고 있어서다. 이에 통신 3사는 행정소송 등 법적 대응을 거론하며 맞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망 임대 사용료 인하 등 알뜰폰 지원대책이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려 표류하고 있다”며 “인하에 부정적인 SK텔레콤 역시 적극적으로 협상에 나설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깜깜이 경영 불가피”
알뜰폰 업계는 망 임대 사용료 협상 지연에 대해 “경영계획 수립에 차질을 빚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통신 3사와 경쟁하기 위한 새로운 요금제를 내놓으려면 서비스 원가인 망 임대 사용료가 정해져야 하는데 협상이 늦어져 깜깜이 경영을 할 수밖에 없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알뜰폰 업체 임원은 “서비스 원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망 임대 사용료 발표가 지연되면서 하반기 사업계획은 물론 적극적인 영업 기회를 잃고 있다”며 “정부가 알뜰폰 업계의 기대만 높여놓고 나 몰라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알뜰폰 가입자 수는 지난 3월 기준 701만 명으로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의 11.4%를 차지한다. 상위 5위 사업자 안에는 CJ헬로비전(86만5354명·3월 기준 가입자), SK텔링크(72만6619명), 인스코비(63만1204명), 이지모바일(61만3920명), 유니컴즈(57만4385명) 등이 포함됐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문재인 정부의 인수위원회 역할을 한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지난 6월 발표한 통신비 절감대책에 알뜰폰 망 임대 사용료 인하 방안을 담았다. 지난해 317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알뜰폰 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망 임대 사용료란 알뜰폰 사업자가 통신 3사의 이동통신망을 빌려 쓰고 내는 돈이다. 알뜰폰이 제공하는 4세대(LTE) 통신 서비스의 망 임대 사용료 산정은 수익배분형이다. 가입자로부터 받는 요금 수익을 통신사와 나눠 갖는 방식이다. 예컨대 현재 5만~6만5000원 요금제에선 55%(알뜰폰) 대 45%(통신사)로 수익을 배분한다. 5만원 이하 요금제에선 60%(알뜰폰) 대 40%(통신사) 비율이다. 국정기획위는 알뜰폰 사업자가 가져가는 수익 비율을 이달에 10%포인트 높이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매년 상반기(4~6월)에 알뜰폰 사업자들과 함께 망 도매제공 의무사업자인 SK텔레콤과 협상을 벌여 망 임대 사용료를 발표했다. 하지만 올해 망 임대 사용료 협상은 지지부진하다. 정부가 다음달 1일 도입 예정인 선택약정할인율 상향 조정 대책에 올인하고 있어서다. 이에 통신 3사는 행정소송 등 법적 대응을 거론하며 맞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망 임대 사용료 인하 등 알뜰폰 지원대책이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려 표류하고 있다”며 “인하에 부정적인 SK텔레콤 역시 적극적으로 협상에 나설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깜깜이 경영 불가피”
알뜰폰 업계는 망 임대 사용료 협상 지연에 대해 “경영계획 수립에 차질을 빚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통신 3사와 경쟁하기 위한 새로운 요금제를 내놓으려면 서비스 원가인 망 임대 사용료가 정해져야 하는데 협상이 늦어져 깜깜이 경영을 할 수밖에 없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알뜰폰 업체 임원은 “서비스 원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망 임대 사용료 발표가 지연되면서 하반기 사업계획은 물론 적극적인 영업 기회를 잃고 있다”며 “정부가 알뜰폰 업계의 기대만 높여놓고 나 몰라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알뜰폰 가입자 수는 지난 3월 기준 701만 명으로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의 11.4%를 차지한다. 상위 5위 사업자 안에는 CJ헬로비전(86만5354명·3월 기준 가입자), SK텔링크(72만6619명), 인스코비(63만1204명), 이지모바일(61만3920명), 유니컴즈(57만4385명) 등이 포함됐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