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보안업계 전문가 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한국 기업의 전반적인 보안 인식 수준이 ‘높다’는 답은 9.9%(매우 높다 1.4%, 다소 높다 8.5%)에 그쳤다. ‘낮다’(다소 낮다 38.0%, 매우 낮다 9.9%)는 답이 47.9%로 ‘보통’(42.3%)을 앞질렀다.
한국 기업의 정보 보호 예산 규모에 대해선 ‘적은 편’이라는 답변이 78.9%(다소 적다 46.5%, 매우 적다 32.4%)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보통’이란 답이 21.1%였고 ‘많은 편’이라고 답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기업들이 제대로 된 보안을 갖추지 않는 원인 역시 ‘비용에 대한 부담’(56.3%)이 첫손가락으로 꼽혔다. ‘보안 전문가 부재’(19.7%), ‘기술적 이해 부족’(8.5%)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기업 정보 보호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정보 보호 예산 확보’를 꼽는 사람이 39.4%로 가장 많았다. ‘정보 보호 전문인력 확보 및 운용’도 38.0%로 비슷한 숫자를 기록했다.
사회 전반적인 보안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정부 정책으로는 ‘보안 컨트롤타워 수립’(38.0%)과 ‘정보 보호 지원 예산 증액, 보안 예산에 대한 세제혜택 강화 등 인센티브 확대’(36.6%)를 꼽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기업들이 새롭게 도입하는 서비스 가운데 보안 이슈가 가장 많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로는 사물인터넷(IoT)을 꼽은 비율이 52.1%로 가장 높았다. 클라우드 서비스(33.8%)와 빅데이터(9.9%)를 지목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백기승 KISA 원장은 “사이버 공격이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이용해 대량 무작위 확산 방식으로 바뀌고, 국가 간 사이버 전쟁으로 번지고 있다”며 “이제는 사회 전 영역의 보안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지 않으면 전체가 위협받는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