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MD, 대학생 '꿈의 직업' 대열에…'중규직' 마트 캐셔, 경력단절여성 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진화하는 유통산업
갈수록 치열한 유통업체 입사 경쟁
승진 없는 무기계약…'고용의 질' 논란도
갈수록 치열한 유통업체 입사 경쟁
승진 없는 무기계약…'고용의 질' 논란도
박혜진 롯데백화점 마케팅부 대리(30)는 ‘4수’ 끝에 2012년 입사했다. 다른 기업에 취업할 기회도 있었다. 하지만 중국어가 유창하고 마케팅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롯데백화점에 꼭 들어가고 싶었다고 했다. 롯데는 국내 백화점 중 유일하게 중국에 매장이 있다. 현재 그는 왕훙(중국 파워블로거) 초대 행사 등 중국 이벤트 관리 업무를 하고 있다. 박 대리는 “일에 대한 만족도뿐 아니라 여성 관련 복지 제도가 잘돼 있다는 점도 좋다”고 말했다.
롯데에는 박 대리처럼 재수, 삼수를 한 직원이 많다. 대기업이면서 연봉이 높고 복지가 좋다는 것 때문만은 아니다. 백화점 대형마트 홈쇼핑 등 유통업이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인 영향도 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의 2014년 조사에선 여대생이 가고 싶은 기업 5위에 롯데쇼핑이 올랐다. 작년 인크루트 발표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은 대학생 선호 직장 4위를 기록했다.
기획·마케팅·상품기획자(MD) 등 유통업의 핵심 직종만 인기가 많은 게 아니다. 유통 기업이 온라인, 해외 진출 등으로 사업을 확대하면서 해외 영업이나 정보기술(IT) 개발 업무에도 취업자가 몰리고 있다. 롯데 관계자는 “임시직, 비정규직도 수십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다”고 전했다.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되는 일이 많아 경력단절 여성 등 취업이 쉽지 않은 사람도 많이 지원한다는 얘기다.
유통산업이 많은 사람을 채용하다 보니 구인난에 처한 중소기업들이 불만을 토로하기도 한다. 경기 이천에 공장이 있는 한 중소기업 사장은 “생산직 여직원들이 유통업체로 옮기는 바람에 일손이 늘 달린다”고 말했다.
논란도 있다. 유통업체들이 창출한 일자리가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라는 지적이 많다. 처우가 좋지 않은 시간제·기간제 일자리가 많다는 것이다. 롯데마트는 작년 말 기준 여직원 9964명 중 88.8%인 8852명이 무기계약직이다. 무기계약직은 주 40시간 미만 일을 하면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약이 매년 연장되는 근로 형태다. 승진은 하지 못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중간에 있다고 해서 ‘중규직’이라고도 불린다. 롯데 관계자는 “이들의 업무는 계산 등 단순한 업무여서 완전한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 고용의 안정성을 보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롯데에는 박 대리처럼 재수, 삼수를 한 직원이 많다. 대기업이면서 연봉이 높고 복지가 좋다는 것 때문만은 아니다. 백화점 대형마트 홈쇼핑 등 유통업이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인 영향도 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의 2014년 조사에선 여대생이 가고 싶은 기업 5위에 롯데쇼핑이 올랐다. 작년 인크루트 발표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은 대학생 선호 직장 4위를 기록했다.
기획·마케팅·상품기획자(MD) 등 유통업의 핵심 직종만 인기가 많은 게 아니다. 유통 기업이 온라인, 해외 진출 등으로 사업을 확대하면서 해외 영업이나 정보기술(IT) 개발 업무에도 취업자가 몰리고 있다. 롯데 관계자는 “임시직, 비정규직도 수십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다”고 전했다.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되는 일이 많아 경력단절 여성 등 취업이 쉽지 않은 사람도 많이 지원한다는 얘기다.
유통산업이 많은 사람을 채용하다 보니 구인난에 처한 중소기업들이 불만을 토로하기도 한다. 경기 이천에 공장이 있는 한 중소기업 사장은 “생산직 여직원들이 유통업체로 옮기는 바람에 일손이 늘 달린다”고 말했다.
논란도 있다. 유통업체들이 창출한 일자리가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라는 지적이 많다. 처우가 좋지 않은 시간제·기간제 일자리가 많다는 것이다. 롯데마트는 작년 말 기준 여직원 9964명 중 88.8%인 8852명이 무기계약직이다. 무기계약직은 주 40시간 미만 일을 하면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약이 매년 연장되는 근로 형태다. 승진은 하지 못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중간에 있다고 해서 ‘중규직’이라고도 불린다. 롯데 관계자는 “이들의 업무는 계산 등 단순한 업무여서 완전한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 고용의 안정성을 보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