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내릴 땐 찔끔, 오를 땐 왕창?…두바이 원유가 올라도 국내 휘발유 값은 되레 내리기도
국제 유가가 완만한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국내 기름값은 오히려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두바이산 원유 가격은 지난 3월29일 배럴당 50달러를 돌파한 뒤 지난달 12일에는 54달러까지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주유소 휘발유 소비자 가격은 L당 1494.7원에서 1486.7원으로 오히려 하락했다. 반대로 두바이산 원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선까지 내린 지난주 휘발유값은 L당 1487원대로 소폭 올랐다.

국제 유가와 국내 기름값이 따로 움직이는 것은 주유소에 휘발유를 공급하는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4개 정유사들이 원유 가격이 아니라 원유를 정유한 뒤 나오는 휘발유 국제 제품 가격을 토대로 기름값을 결정하고 있어서다. 3월 휘발유 국제 제품 가격은 L당 442.1원으로 2월(487.31원)보다 45원가량 떨어졌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원유 가격이 오르면 국제 제품 가격도 따라서 인상되지만 생산된 휘발유 등 재고가 있어 국내 기름값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소비자 가격의 절반을 웃도는 높은 유류세도 유가 변동이 기름값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휘발유에는 본래 가격과 상관없이 정액으로 부과하는 교통에너지환경세(529원)와 이에 연동되는 교육세(79.35원), 주행세(137.54원)를 합쳐 L당 745.89원의 세금이 붙는다.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홍보팀장은 “극단적으로 국제 제품 가격이 L당 1원까지 떨어지더라도 휘발유 가격은 746.89원 이상으로 책정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기름값이 높다고 무조건 정유사 실적이 좋은 것도 아니다. 주유소 평균 휘발유값이 L당 2000원을 웃돈 2012년 2분기 4개 정유사들은 총 73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냈다. 원유를 정유해 나오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원유보다 낮은 역마진이 발생하면서 만들면 만들수록 손해를 봤기 때문이다. 중국과 인도에서 대규모 정유시설이 가동에 들어가면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한 탓이다. 반면 국내 휘발유값이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L당 1402원에 그친 지난해 정유사들은 8조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거뒀다. 국제 유가가 완만히 상승하면서 정유 사업이 아닌 석유화학 제품 마진(석유제품과 원유 가격차로 얻는 수익)이 좋아진 결과다. 중국과 일본 등 경쟁 업체들이 시설 점검 등으로 생산량을 줄인 것도 실적 개선 이유로 꼽힌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