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육아휴직 3년·칼퇴근·비정규직 총량제 등 시행할 것" 공약집 발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 후보는 공약집에 그동안 강조했던 안보·경제·공동체 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10대 분야 165개 공약을 담았다.
ADVERTISEMENT
유 후보는 그동안 주요 공약으로 홍보했던 '칼퇴근법(퇴근 후 돌발노동을 제한하는 법)'과 함께 가정약육수당 2배 인상, 초중고교 자녀를 둔 가정에 자녀 한 명당 10만 원의 아동수당을 지급을 약속했다.
노동 관련 정책으로는 '안정 고용', '안심 임금', '안전 현장' 등 3안(安) 노동을 키워드로 간접고용을 포함한 비정규직 사용 총량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최저임금은 2018년부터 매년 15%씩 인상해 2020년까지 1만 원 선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ADVERTISEMENT
중소기업에는 4대 사회보험료를 지원해 임금상승 효과를 유도한다. 중소기업청은 창업중소기업부로 승격하고 산업정책의 중심을 대기업에서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둘 것이라고 밝혔다.
규제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한다. 기술창업 벤처기업에 대해 창업 후 3~5년 동안 소비자를 보호하고 기업 활동 관련 규제나 법적의무를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규제동결조치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유 후보는 공정한 시장경제를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전속고발권을 폐지하고 범죄를 저지른 재벌총수와 일가 경영진에 대한 사면복권 금지를 약속했다.
'더불어 사는 공동체' 공약으로는 기초생활수급자의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와 함께 소득하위 50% 노인층에 대한 기초연금 차등 인상, 기초생활보장제도 대상자 확대 등이다.
ADVERTISEMENT
유 후보의 안보 공약으로는 미국 핵전력의 '한미 공동자산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통상역량 강화를 위한 외교통상부 부활 등이 나왔다.
대학입시는 학교생활기록부와 면접, 수능으로 단순화하고 수능은 최소한의 자격시험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대학별 논술은 폐지 및 자사고와 외고 폐지도 공약했다.
정치개혁안으로는 2017년 연말 대통령 4년 중임제 개헌안을 발의하고 2018년 지방 선거 때 국민투표를 치르겠다는 계획이다.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및 국회의원 정수 200명 축소, 국회의원 선거구제 개편, 선거연령 18세 하향 조정, 국회의원 면책·불체포특권 폐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 국가정보원·국세청·감사원 개혁 등도 주요 정치개혁안으로 제시됐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