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못 믿는 국민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 있다" 62%…3년새 20%P 하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행정연구원 '2016 사회통합 실태조사'
최순실 국정농단·세월호에 취업난까지 겹쳐
"앞으로 경제 나빠질 것" 처음으로 50% 넘어
78% "정치 상황 불만족"…20%P 이상 '껑충'
최순실 국정농단·세월호에 취업난까지 겹쳐
"앞으로 경제 나빠질 것" 처음으로 50% 넘어
78% "정치 상황 불만족"…20%P 이상 '껑충'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이 있다’고 답한 국민 비중이 3년 새 20%포인트 가까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저성장 기조가 굳어지는 가운데 세월호 참사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등이 연달아 터지면서 한국인들이 자부심에 큰 상처를 입었다는 분석이다. 사회 전반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확산됐다. 앞으로 경제가 나빠질 것으로 보는 국민이 처음으로 절반을 넘었고, 국내 정치에 대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중은 80%에 육박했다.
◆10명 중 6명만 “자긍심 있다”
6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행정연구원의 ‘2016년 사회통합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62.5%에 그쳤다. 지난해 9~10월 전국 성인 남녀 8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이 알려진 시기와 조사 기간이 겹쳐 응답 내용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박근혜 정부 출범 첫해인 2013년 같은 조사에서는 응답률이 80.0%에 달했다. 3년 만에 17.5%포인트 떨어졌다. 현 정부 들어 대한민국 국민의 자긍심이 유독 크게 하락했다.
행정연구원은 “국가 자긍심은 국민이 소속된 공동체에 갖는 귀속감과 자부심 수준을 재는 척도”라며 “개인과 사회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부패와 저성장이 떨어뜨린 국격
연령대별로는 20~30대의 자긍심이 가장 낮았다. 지난해 기준으로 20대와 30대 중 ‘자긍심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각각 53.1%와 52.3%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3년 전에는 두 연령층 모두 70%를 넘었다. 60대는 76.9%로 여전히 자긍심이 있다는 응답이 우세했지만 2013년(90.5%)에 비해서는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소득 수준으로 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 400만~500만원 구간에서 ‘자긍심이 있다’(64.4%)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 학력 수준으로 따지면 대졸 이상자(57.6%)가 최저였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경기는 여전히 좋지 않고 청년 실업도 악화되면서 ‘대한민국’이라는 시스템에 대한 자부심이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거리에 나온 시민들이 푸념한 ‘이게 나라냐?’라는 표현이 단적으로 국민의 자긍심 정도를 보여준다”며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부정부패가 국격을 떨어뜨렸다”고 설명했다.
◆경제도 정치도 “암울”
경제 상황에 만족하는 사람들도 크게 줄었다. 현 경제 상황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2013년 16.8%에서 지난해 9.2%로 떨어졌다. ‘만족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비율은 같은 기간 53.8%에서 72.2%로 18.4%포인트 증가했다. ‘앞으로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51.1%로 처음 절반을 넘어섰다. 3년 전(33.5%)보다는 20%포인트 가까이 높아진 것이다. 30대의 향후 경제 전망이 가장 부정적이었다. 응답자의 19.4%만 경제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치 상황 만족도도 나빠졌다. ‘만족하지 않는다’는 대답은 2013년 54.8%에서 지난해 78.5%로 급격히 증가했다.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같은 기간 8.2%에서 16.5%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향후 정치에 대한 기대감도 낮았다. ‘앞으로 정치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지난해 33.6%에 그쳤다. 구정우 교수는 “지난해 다른 조사에서도 인권을 떨어뜨린 주범으로 정치인이 꼽혔다”며 “국민의 정치에 대한 불신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6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행정연구원의 ‘2016년 사회통합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62.5%에 그쳤다. 지난해 9~10월 전국 성인 남녀 8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이 알려진 시기와 조사 기간이 겹쳐 응답 내용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박근혜 정부 출범 첫해인 2013년 같은 조사에서는 응답률이 80.0%에 달했다. 3년 만에 17.5%포인트 떨어졌다. 현 정부 들어 대한민국 국민의 자긍심이 유독 크게 하락했다.
행정연구원은 “국가 자긍심은 국민이 소속된 공동체에 갖는 귀속감과 자부심 수준을 재는 척도”라며 “개인과 사회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부패와 저성장이 떨어뜨린 국격
연령대별로는 20~30대의 자긍심이 가장 낮았다. 지난해 기준으로 20대와 30대 중 ‘자긍심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각각 53.1%와 52.3%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3년 전에는 두 연령층 모두 70%를 넘었다. 60대는 76.9%로 여전히 자긍심이 있다는 응답이 우세했지만 2013년(90.5%)에 비해서는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소득 수준으로 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 400만~500만원 구간에서 ‘자긍심이 있다’(64.4%)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 학력 수준으로 따지면 대졸 이상자(57.6%)가 최저였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경기는 여전히 좋지 않고 청년 실업도 악화되면서 ‘대한민국’이라는 시스템에 대한 자부심이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거리에 나온 시민들이 푸념한 ‘이게 나라냐?’라는 표현이 단적으로 국민의 자긍심 정도를 보여준다”며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부정부패가 국격을 떨어뜨렸다”고 설명했다.
◆경제도 정치도 “암울”
경제 상황에 만족하는 사람들도 크게 줄었다. 현 경제 상황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2013년 16.8%에서 지난해 9.2%로 떨어졌다. ‘만족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비율은 같은 기간 53.8%에서 72.2%로 18.4%포인트 증가했다. ‘앞으로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51.1%로 처음 절반을 넘어섰다. 3년 전(33.5%)보다는 20%포인트 가까이 높아진 것이다. 30대의 향후 경제 전망이 가장 부정적이었다. 응답자의 19.4%만 경제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치 상황 만족도도 나빠졌다. ‘만족하지 않는다’는 대답은 2013년 54.8%에서 지난해 78.5%로 급격히 증가했다.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같은 기간 8.2%에서 16.5%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향후 정치에 대한 기대감도 낮았다. ‘앞으로 정치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지난해 33.6%에 그쳤다. 구정우 교수는 “지난해 다른 조사에서도 인권을 떨어뜨린 주범으로 정치인이 꼽혔다”며 “국민의 정치에 대한 불신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