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배터리 회사명 끝까지 함구한 고동진 사장, "협력업체 함께 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법적 책임 및 어떤 책임도 묻지 않겠다"
리콜 과정 중 이중잣대 논란 불러일으킨 중국 소비자에 사과
리콜 과정 중 이중잣대 논란 불러일으킨 중국 소비자에 사과

23일 서울 서초 삼성전자 사옥.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의 소손(불에 타서 부서짐) 원인을 밝히기 위한 기자간담회 자리였다. 일문 일답 시간에 한 기자가 업체명을 되물었다. 모두가 알고 있었다. 하지만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무선사업부장)은 끝까지 회사명을 입 밖으로 내지 않았다.
ADVERTISEMENT
고 사장은 두 업체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채 협력업체와의 신뢰를 강조했다. 그는 "갤럭시노트7과 같은 제품에는 부품이 1000개 정도 들어가고 주요 부품은 400개 정도로 압축된다. 1차 협력사만도 450여개에 이른다"고 말했다.
더불어 "이번 제품(갤노트7)이 단종으로 가게 됐고, 손실을 감안하면 힘든 시기였다. 그러나 협력사이고 다른 분야에서 다른 모델에서 함께 일하고 있다"며 "우리가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책임이 있기 때문에, 최종적인 책임도 삼성이 져야 한다는 입장이다"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1차 리콜과 2차 리콜의 과정이 달랐기 때문에 비율을 비교하기 어렵다는 것. 이는 B배터리에 문제가 생기게 된 원인이 A 배터리를 사용한 제품의 리콜을 서두르다보니 결함이 생긴 게 아니냐는 질문과도 이어졌다. 그는 "A 배터리는 소비자들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해 빠른 리콜을 진행했다"며 "B 배터리 제품은 원래 출시가 좀 늦게 추진되는 일정이었고, B 회사 자체의 규모가 위상으로 볼 때 무리가 되는 수준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특히 B 회사는 중국업체다. 리콜되는 과정에서 오해를 일으킨데에 대해 중국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사과를 하기도 했다. 그는 "1차 리콜 때 중국 소비자 여러분께 좀 더 자세히 커뮤니케이션하고 설명을 더 정확해 했더라면 이중 잣대 논란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제조회사와 모델에 따라서 배터리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최종 책임이 삼성에 있다는 부분도 강조했다. 경쟁회사를 의식해 무리하게 신제품 출시를 서두르다보니 결함이 생긴 게 아니냐는 질문에는 "갤럭시노트 시리즈는 매년 가을에 주로 출시했기 때문에 연례적인 것이었다"고 답했다.
이 밖에도 '갤럭시노트7이 방수방진 기능을 강화하다보니 열이 빠져나가지 못해서가 아니냐'라던가 '배터리를 보호하는 소프웨어 알고리즘의 잘못이 아니냐', '공정상의 세트 압착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원인이 아니냐' 등의 질문에 대해서도 "모든 점을 고려해서 자체 및 외부 조사를 했지만 문제가 없었다"고 자신했다.
ADVERTISEMENT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