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님이 좋게 본다길래 포트폴리오에 비야디(BYD)와 샤오미를 담았습니다."올 들어 여의도 증권가에선 중국 주식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지난 1월 중국 인공지능(AI) 업체인 딥시크(DeepSeek)의 AI 모델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은 영향이 크지만,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의 '시그널'도 한몫했다는 후문입니다. "박 회장이 찜했다더라"는 말 한마디에, 펀드매니저들의 손길에 속도가 붙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박현주 회장이 찜한 종목" 펀드매니저들도 관심 여의도에서 돈을 잘 굴리기로 소문난 한 펀드 매니저(운용역) A씨는 최근 "연초 박 회장이 중국에 출장을 다녀온 뒤로 중국에 시선을 사로잡혔다고 전해 들었다"며 "일부 인터뷰 기사에서도 박 회장이 중국 특정 종목들을 거론하면서 매니저들끼리 종목 스터디(분석)에 들어가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국내 한 헤지펀드 운용사의 운용역 B씨는 "AI를 활용한 전기차 테마로 '테슬라'와 '비야디'가 양대 종목이 된 터라, 헤지(위험 노출 회피)용으로 한도 내 테슬라와 비야디의 비중을 조절해 가며 운용 중"이라며 "테슬라의 판매량이 떨어지거나 실적이 안 좋으면 테슬라를 내리고 비야디는 올리는 식"이라고 했습니다.그는 "비야디의 경우 박 회장이 찜한 종목이란 소문이 파다했다"며 "이런 소문이 운용상 투자 전략에 영향을 주진 않는다지만 시장 모멘텀을 만들 수 있는 영향력이 큰 인물이기 때문에 보조지표 정도로는 염두에 둔다"고 말했습니다.일부 언론 보도와 업계 관계자 등에 따르면 박 회장은 지난해부터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
체성분 분석기 ‘인바디(Inbody)’의 글로벌 구글 검색량이 최근 급증하며 수출 증대 기대를 키우고 있다.인바디는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인바디의 체성분 분석기 브랜드다. 주간 검색량으로 지난 6~12일 한 주간 역대 최대를 나타냈다. 구글 검색 트렌드는 특정 브랜드의 글로벌 인지도와 매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대표적 선행지표다.인바디와 함께 찾아본 연관 검색어 중에서 ‘Inbody Salud Digna(살루드 디그나)’가 눈길을 끌었다. 살루드 디그나는 멕시코 등 중남미 지역 230곳 이상의 센터를 운영하는 대형 의료기관 체인이다. 멕시코 의료 시장에서 인바디 제품을 향한 관심 증대를 추정해 볼 수 있는 검색 결과다. 의료기관 체인은 헬스장 체인과 함께 인바디의 주요 영업 타깃이다.인바디는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멕시코 등 13곳의 현지법인에서 총 110개국에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2045억원의 매출과 36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전년 대비 매출이 20%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4.2% 감소했다. 전체 매출의 80% 이상은 해외에서 나온다.박이경 한경에이셀 데이터 애널리스트
국내 최대 헬스앤드뷰티(H&B) 소매점인 올리브영 매출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다이소 등 종합 소매점의 시장 잠식과 소비자의 온라인 채널 이동이 겹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20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올리브영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한 신용카드 결제금액(추정치)은 올해 1분기(1~3월) 4225억원으로, 작년 동기(4741억원) 대비 11% 감소했다. 월별로는 작년 10월 이후 6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체 매출의 약 30%를 차지하는 온라인 결제금액도 지난달까지 6개월 연속 전년보다 쪼그라들었다. 한경에이셀은 회원 2000만 명 이상의 결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1주일 단위로 전체 결제금액을 추정한다. 전문가들은 다이소 등 종합 소매점의 뷰티 상품군 확장 등 경쟁이 심해진 게 올리브영 매장의 소비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다이소는 취급 뷰티 브랜드를 작년 말 기준 60개로, 1년 전(26개)보다 두 배 이상으로 확대했다.1999년 서울 강남구 신사동 1호점으로 시작한 올리브영은 국내 H&B 소매점 시장에서 독보적 지위를 누리며 고성장해 왔다. 올리브영을 운영하는 CJ올리브영의 법인 매출은 지난해 4조7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4.1% 증가했다. 최근 3개년 기준 연평균 매출 증가율은 31.4%였다. 올영보다 다이소 몰린 1020…올리브영 매출 6개월째 내리막다이소 카드결제액 8% 늘어날 때 올리브영은 10%↓…반년째 역전“잘파세대(Z세대+알파세대)의 브랜드 경험 확대 목적에 부합한다고 판단해 최근 다이소 입점을 결정했습니다.”(이보미 아모레퍼시픽 마몽드 팀장)다이소와 올리브영의 매출 흐름이 올해 들어 엇갈리고 있다. 초저가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