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직권남용·직무유기 의혹…'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도 조준
문체부 '인사 전횡·청탁' 의혹 추적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하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26일 오전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자택,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집무실과 자택 등 10여곳에서 동시다발 압수수색에 나섰다.

현 정부의 최고 의사결정 과정에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의심받는 김 전 실장을 겨냥한 수사가 본격화한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7시께부터 서울 종로구 평창동 김 전 실장 자택에 수사진을 보내 비서실장 시절 업무 관련 기록과 각종 서류 등을 확보했다.

아울러 특검팀은 정부세종청사의 문체부 사무실과 관계자들의 자택 여러 곳도 압수수색했다.

대상지에는 조윤선 현 문체부 장관의 집무실과 자택도 포함됐다.

특검팀은 '문체부 인사 전횡' 등 김 전 실장을 둘러싼 각종 의혹과 관련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압수수색에 나섰다.

김 전 실장은 2014년 10월께 당시 김희범 문체부 1차관에게 "1급 실·국장 6명으로부터 일괄 사표를 받으라"고 지시한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로 검찰 수사 단계에서 입건된 상태다.

이 의혹은 10월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의 폭로로 세간에 알려졌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김기춘 전 실장이 김 전 차관에게 명단을 주면서 실·국장들을 자르라고 했다"고 밝혔다.

6명이 일괄사표를 제출했고, 이 중 3명은 공직을 떠났다.

유 전 장관은 "청와대에서 그렇게 요구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김 전 실장이 애틀랜타 총영사였던 김 전 차관을 불러 '성분 검사'를 한 뒤 맡겼던 업무가 그것"이라고 말했다.

이 사건은 '비선 실세' 최순실씨가 사실상 소유하며 마음대로 주무른 것으로 드러난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의 '사전 정지작업'의 성격을 지닌다는 해석을 낳았다.

재단 설립에 앞서 업무를 관장하는 문체부를 길들이려는 조치였다는 것이다.

특검팀은 김종(55·구속기소) 전 문체부 2차관이 김 전 실장에게 '인사 청탁'을 했다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

문체부 전 고위 간부가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도록 힘써달라고 김 전 실장에게 부탁했다는 내용이다.

특검팀은 최근 유 전 장관을 제3의 장소에서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하며 이런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대통령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 때부터 2대에 걸쳐 인연을 맺은 김 전 실장은 2013년 8월부터 작년 2월까지 청와대 2인자이자 '대통령의 그림자'로 불리는 비서실장을 지냈다.

박 대통령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보는 등 '왕 실장'으로 불렸다.

이 때문에 김 전 실장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더불어 최순실씨의 '국정농단'을 묵인 내지 방조했다는 의심도 산다.

김 전 실장은 줄곧 최씨를 모른다고 주장하다가 국회 국정조사 특위의 청문회에서 과거 자료가 다수 공개되면서 그를 안다고 말을 바꾸기도 했다.

본격 수사에 나선 특검은 김 전 실장의 직권남용 혐의 외에 직무유기 의혹도 동시에 조준할 전망이다.

아울러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은 문화예술계의 이른바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문화예술단체로부터 고발된 상태이기도 하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블랙리스트 관리 의혹이 불거진 문화예술정책실 산하 예술정책국도 포함돼 특검이 관련 수사에도 본격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회 등 12개 문화예술단체는 김 전 실장이 2014년 8월 세월호 참사를 풍자한 홍성담 작가의 작품 '세월오월'의 광주비엔날레 전시를 막았다고 주장하며 이달 12일 특검팀에 고발했다.

그해 9월 세월호 생존자 구조작업에서 정부의 무능을 비판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의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을 차단하도록 모의하고, 계획이 불발되자 이용관 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물러나도록 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들 단체는 김 전 실장이 이듬해 1월 대통령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영화계 좌파성향 인적 네트워크 파악이 필요하다"며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하고 이들의 정부 지원 사업 참여를 막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도 주장했다.

특검은 조만간 문체부 관계자들과 김 전 실장을 소환해 의혹과 관련한 사실관계와 경위 등을 파악할 방침이다.

(서울·세종연합뉴스) 최송아 김수현 최평천 기자 song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