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 회담 영토협상 '빈손'에 오스프리사고 대응 비판
진주만 방문은 극우세력엔 부담…"트럼프 회담 조율 난항"

한때 60%가 넘는 높은 지지율을 얻었던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연말에 잇따른 악재를 만나면서 역풍을 맞고 있다.

아베 내각의 지지율은 지난 11월 총리가 뉴욕으로 달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외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회담한 직후 60.7%(교도통신)를 기록했다.

활발한 외교활동으로 잘 나가던 아베 총리는 지난 15~16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야마구치(山口) 현과 도쿄(東京)에서 연이어 가진 정상회담에서 장애물에 직면했다.

그동안 공들였던 쿠릴 4개 섬(일본명 북방영토) 반환 협상에서 큰 성과를 끌어내지 못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이 러시아에 대해 3천억엔(약 3조원)대의 경제협력을 하기로 합의한 것에 대해선 비판이 잇따랐다.

교도통신이 지난 18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내각 지지율은 54.8%로 11월보다 5.9% 포인트 감소했다.

이보다 하락 폭이 크진 않았지만, 산케이신문이 20일 전한 여론조사에선 한 달 전보다 2.3%포인트 감소한 55.6%로 집계됐다.

아사히신문 여론조사에선 전월에 비해 1%포인트 줄어든 50%였다.

지지율이 잇따라 하락한 가운데 오키나와(沖繩) 현 주둔 미군이 지난 13일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 비행사고가 발생한 지 엿새 만에 비행을 재개한 것도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미군 측의 비행 재개 방침에 "합리성이 인정된다"고 수용했지만, 주민들은 일방적 결정이라며 "오키나와를 식민지로 아느냐"고 반발했다.

이들은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는데도 정부가 조기에 미군 측 입장을 받아들인 것에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아베 총리가 오는 26∼27일 하와이를 방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진주만 공습(1941년 12월 7일) 피해자들을 위령하는 일정은 그의 말 한마디에 따라 후폭풍이 예상된다.

그의 발언이 2차대전에 대한 일본의 가해 책임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면 일본 내 극우세력의 반발이 예상되고, 사죄 입장을 전혀 밝히지 않을 경우 국제적 비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아베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일(내년 1월 20일) 이후인 다음달 하순 미국을 방문해 정상회담을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1월 12일부터 16일까지는 호주,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을 방문할 계획이다.

현재는 1월 20일께 정기국회를 개회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국회 일정을 고려하면 아베 총리가 미국을 방문할 수 있는 날짜가 주말이 포함된 1월 27~29일밖에 없어 조율에 난항을 겪고 있다"며 "1월 방미 일정을 보류할 경우 회담은 새해 예산안이 중의원을 통과한 2월 말이나 3월 말로 늦어지게 된다"고 전했다.

(도쿄연합뉴스) 김정선 특파원 j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