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진, 리콜 이후 사장단회의 첫 참석…사태 마무리 국면
발화 원인, 배터리 아닌 제품 설계 문제로 굳혀져
[ 이진욱 기자 ]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사태가 마무리 국면으로 들어선 분위기다. 삼성전자가 자체적으로 발화 원인을 결론내면서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고동진 무선사업부장(사장)의 최근 행보도 이와 맞물리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갤노트7 발화원인을 이르면 이번 달, 늦어도 다음 달엔 발표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갤노트7 1차 리콜 당시엔 배터리 설계를 원인으로 봤지만, 2차 때는 제조 공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삼성전자 입장에서 발화 원인 발표는 빠를수록 좋다. 그렇지 않을 경우 당장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S8에 악영향을 미칠수도 있기 때문이다. 혹여 신제품 출시 직전에 발화 원인을 발표한다면 갤럭시S8에 대한 소비자 신뢰 확보도 어려워진다. 때문에 발화원인이 이달 내 발표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갤노트7의 발화원인을 보는 관점은 다양하지만, 업계에서는 배터리가 아닌 제품 자체 설계 문제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최근 인스트루멘탈이라는 기업의 엔지니어들은 갤노트7을 분해한 후 분석한 결과 제품 설계 자체가 일반적인 동작에서도 배터리를 압박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인스트루멘탈 측은 "이런 설계는 배터리가 계속 압박을 받을 수 있다"며 "배터리가 압력을 받게되면 양극과 음극 분리막이 손상을 입게되는데, 양극과 음극이 접촉하면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해 발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일각에선 최근 고동진 사장의 달라진 행보를 갤노트7 사태 안정화의 시그널로 받아들이는 눈치다.
고 사장은 갤노트7 1차 리콜 이후 매주 수요일마다 열리는 삼성 사장단회의에 수개월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발화 사태 수습과 원인 규명에 매달리느라 참석할 겨를이 없었던 것.
그러나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사장단회의에 참석하면서 삼성전자가 갤노트7 발화 원인 규명과 함께 안정화 단계에 돌입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통상적으로 삼성 사장들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을 때 사장단 회의에 참석치 않다가 사태 수습 후 나타났단 점을 보면, 충분히 설득력있다는 주장이다.
ADVERTISEMENT
또 최근 갤노트7의 글로벌 회수율이 90%를 넘어서면서 전량 회수에 가까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 것도 사태 안정화에 힘을 싣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고동진 사장이 갤노트7 사태를 어느 정도 마무리하면서 사장단 회의에 모습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며 "삼성이 발화 원인을 밝힌 시점과 고 사장이 회의에 참석한 시기가 겹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고객의 소중한 정보를 보호해야 할 책무가 있는 국가 기간통신사업자로서 저를 비롯한 SK텔레콤 임직원 모두가 깊은 유감과 책임 느끼고 있습니다."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이용자 유심 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고개를 숙였다. 유 대표는 25일 오전 서울 중구 SK텔레콤 T타워에서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관련 언론설명회에 나와 4번 고개를 숙이며 이용자들에게 사과했다.앞서 SK텔레콤은 지난 18일 해킹 공격 사실을 확인했다. 이틀 뒤인 2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피해를 신고했다. 해킹 정황 인지한 날로부터 24시간이 지난 뒤에 신고가 이뤄진 것이다. SK텔레콤은 신고 지연 사실을 인정했다.이종훈 SK텔레콤 인프라 전략본부장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할 당시 최초로 악성코드를 발견했던 시기를 그대로 기재했다"며 "의도적으로 신고 시간을 지연시킨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이번 유심 정보 해킹 사건과 관련해서 아직 정확한 피해 규모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어떤 정보가 얼마나 유출됐는지 밝혀진 것이 없는 상황. SK텔레콤은 오는 28일부터 유심 무료 교체를 지원하고 이미 바꾼 이용자의 경우 비용을 환급하기로 했다.다만 이전에 해킹 사고 후속 조치로 내놨던 '유심보호서비스'가 미흡하진 않다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고객의 불안감을 최종 해소한다는 측면에서 추가 선택지를 드린 것"이라며 "비정상인증시도 차단(FDS) 시스템과 유심보호서비스 2개를 결합한다면 유심 교체에 준하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홍승태 SK텔레콤 고객가치혁신 실장은 "유심 일회성 교체보다 오히려 더 강력한 조치다"라며 "본인 유심이 타
어도비가 이미지·영상 생성이 가능한 인공지능(AI) 콘텐츠 제작 통합 툴을 선보이며 생성형 AI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어도비 측은 25일 새로운 ‘파이어플라이’ 모델 3종을 공개했다. 이번에 발표된 모델은 △파이어플라이 이미지 모델 4 △파이어플라이 이미지 모델 4 울트라 △파이어플라이 비디오 모델이다. 세 모델 모두 AI 기반 콘텐츠 구상부터 제작까지 가능한 ‘올인원’ 앱 형태로 제공되며 기존 모델 대비 안정성과 활용성을 높였다.파이어플라이는 어도비가 2023년 처음 공개한 크리에이티브 생성형 AI 모델로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이나 영상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특히 이번 파이어플라이 모델들은 구글 클라우드, 오픈AI 등 파트너 모델과도 연동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일 홈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수 있다.어도비 측은 “새로운 파이어플라이는 무드보드 제작이나 크리에이티브 콘셉트 탐색 등을 할 수 있는 ‘AI 퍼스트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최영총 기자 youngchoi@hankyung.com
"아내에게 사과 문자를 쓰고 싶어. 최근에 저녁 술자리가 많아서 집에 늦게 들어가는 날이 많았어. 자정을 넘을 때가 있어서 아내가 걱정을 많이 했어. 미안하다는 내용과 다신 안 그러겠다는 의지를 담은 짧은 문자를 작성해줘."네이버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클로바X에 이 같이 요청하자 문장 4개 정도 분량의 짧은 메시지가 생성됐다. 다시 "이렇게만 쓰면 성의가 없어 보일 것 같아. 분량을 2배 늘려줘"라고 다시 요청하자 이번에는 편지 형태 글이 제시됐다. 클로바X가 생성한 글엔 "(아내 이름), 요즘 내가 너무 무심했던 것 같아. 네가 밤늦게까지 혼자 집에 있어야 했을 때, 그리고 내가 취해서 들어올 때마다 네가 느꼈을 서운함이나 불안함을 생각하니 마음 한구석이 아려온다"는 등의 내용과 사과의 마음을 전하는 문장이 보다 자세히 작성됐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전날 클로바X 업데이트를 통해 한국어 글쓰기에 특화된 에이전트 기능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은 '마음을 담은 글쓰기', '업무를 위한 글쓰기' 두 가지다. 사내 안내문이나 업무용 메일, 결혼식 축사·숏폼 대본·소셜미디어 게시글 등 필요한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버튼은 클로바X 첫 화면 왼쪽 상단에 표시됐다. 글쓰기 에이전트를 추가한 이유는 클로바X 사용자들이 '글 작성'을 가장 많이 요청하고 있어서다. '마음을 담은 글쓰기'는 일상에서 자주 쓰는 글을 대신 작성하는 기능이다. 클로바X를 이용할 때와 같이 곧바로 요청사항을 입력해도 되지만 글쓰기 스타일을 별도로 지정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