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과잉 선택'의 시대…우리는 대신 골라주길 원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큐레이션
마이클 바스카 지음 / 최윤영 옮김 / 예문아카이브 / 432쪽 / 1만8000원
산업혁명 후 200년간 호황 지속
삶의 모든 영역서 정보 넘쳐
수용 가능한 선택범위 초월
선별·배치 같은 큐레이션 요소
글로벌 기업들 앞다퉈 활용
'덜어내는 것'이 핵심가치로
마이클 바스카 지음 / 최윤영 옮김 / 예문아카이브 / 432쪽 / 1만8000원
산업혁명 후 200년간 호황 지속
삶의 모든 영역서 정보 넘쳐
수용 가능한 선택범위 초월
선별·배치 같은 큐레이션 요소
글로벌 기업들 앞다퉈 활용
'덜어내는 것'이 핵심가치로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1928~2016)는 1970년 출간한 《미래의 충격(Future Shock)》에서 이렇게 경고했다. 토플러의 예견은 적중했다. 수많은 정보와 콘텐츠, 상품이 넘쳐나는 일상에서 과잉 선택은 흔한 풍경이 됐다. 토플러는 과도한 선택과 자극이 인간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면 인간이라는 유기체는 곧 육체적이고 심리적인 고통으로 반응한다고 했다.
ADVERTISEMENT
![[책마을] '과잉 선택'의 시대…우리는 대신 골라주길 원한다](https://img.hankyung.com/photo/201611/AA.12885468.1.jpg)
마이클 바스카 옥스퍼드대 브룩스국제센터 연구원은 삶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정리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양에 압도되는 과잉 현상을 타개할 대응책으로 큐레이션을 주목한다. 쓸모없는 것들을 과감히 덜어 내 선택지를 좁혀 주는 큐레이션이야말로 ‘과잉 사회’의 강력한 돌파구라는 것이다.
그는 《큐레이션》에서 역사학과 철학, 경제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를 오가며 큐레이션의 의미를 논한다. 큐레이션의 개념과 효과, 경제·문화·산업분야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고, 큐레이팅을 실천하고 있는 대표적인 산업과 기업, 개인의 사례를 살펴본다.
ADVERTISEMENT
큐레이션은 ‘보살피다, 돌보다’란 의미를 가진 라틴어 큐라레에서 유래했다. 역사적으로 사회 기반 시설을 책임지는 관리를 큐레이터라고 칭했다. 큐레이션은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수많은 수집품과 예술품 중 목적을 가지고 분류하고, 작품의 진가를 판단해 선별한 뒤 이야기를 풀어 내기 위해 배치하는 작업을 일컫는 용어로 진화한다.
영국 박물관은 모두 800만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 큐레이터들은 이 중 1%인 8만점만 선별했고, 이를 다시 80개 주제로 나눠 전시해 관람객들에게 보여준다. 이런 선별과 배치를 통해 덜어내는 작업은 정제와 단순화, 맥락 부여의 과정을 통해 가치를 창출한다. 웹은 기존 큐레이터 체제를 그대로 복제했다. 정보와 글, 영상, 영화, 도서, 뉴스 등 인터넷에 오르는 무수한 콘텐츠를 과감히 덜어내고 새롭게 조합해 가치를 재창출하는 데 성공한 웹 기반 기업들은 빠른 속도로 대규모 지지 세력과 광고비를 확보하고 세계적인 위상까지 얻었다. 구글과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등이 대표적인 온라인 큐레이션 기업들이다.
ADVERTISEMENT
주의 깊게 선별하고, 문제를 간추리고, 이해의 폭을 넓히거나 구입·탐색·인지의 기회를 확대하고, 특정 요소의 효과를 최대로 끌어내는 것. 저자는 이 모두가 큐레이션 영역이라고 규정한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큐레이션은 시대를 초월해 인간 활동의 주요한 영역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핵심은 사회가 전체적으로 더 많은 것을 생산할수록 우리는 점점 더 과잉 현상에 직면하고 큐레이션의 가치와 중요성은 더 확대된다는 점이다.
그는 “선별과 배치, 정제, 진열 등 큐레이션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하며 그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은 오늘날 과잉의 시대를 돌파하는 핵심적인 원리”라며 “이를 통해 우리의 삶은 한층 나아질 수 있다”고 강조한다.
ADVERTISEMENT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