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1분기 잠정 실적을 내놓는 삼성전자 주가 향방에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에 증시가 패닉으로 내몰리고 있는 상황에서 실적마저 예상외로 부진할 경우 '5만전자'(삼성전자 주가 5만원대)도 위태로울 수 있다는 분석이다.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분기 삼성전자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5조2000억원 수준이다. 이는 지난해 1분기 대비 22% 감소한 규모다. 증권사별로 4조6000억~5조8000억원을 예상했다. 매출액 컨센서스는 77조1000억원으로 예상됐다.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올 1분기 메모리 약세에 따른 실적 부진을 예고한 바 있다. 레거시(전통) 반도체인 모바일과 PC용 D램 수요 약세로 생산량 증가율이 한 자릿수 후반대로 줄고, 고대역폭메모리(HBM) 역시 미국 정부의 HBM 중국 수출 통제 등 영향으로 판매 부진을 전망했다.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대비 HBM 판매 수량이 75% 이상 감소해 D램 평균 판매 단가 하락폭이 클 것으로 추정한다"며 "파운드리와 시스템 LSI는 지난해 4분기와 유사한 2조원 중반대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유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도 "D램에서 HBM의 비중이 1분기에 다소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는 D램 영업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설명했다.반면 긍정적인 전망도 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1분기 삼성전자 영업이익 예상치를 주요 증권사 중 가장 높게(5조8000억원) 전망하며 "가전을 제외한 전 사업부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문제는 최근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여파에
비트코인(BTC) 등 가상자산 가격 하락세가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비트코인 강세장이 끝났다는 분석도 잇달아 제기됐다.7일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한때 7만 5000달러선 아래로 하락했다. 전일 대비 약 10% 급락한 수치로, 비트코인 가격이 7만 5000달러를 밑돈 건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이다.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등 주요 알트코인은 하루만에 19~20%의 낙폭을 기록했다. 엑스알피(XRP)는 22%에 가까운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다.급락세의 주요 원인으로는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이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달 2일(현지시간) 대규모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지난주 미 증시에서만 6조 6000억달러(약 9670조원)에 가까운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이번주 들어서는 일본 닛케이, 홍콩 항셍지수 등 주요국 증시가 일제히 폭락했다. 이날 코스피도 급락세로 인해 장중 한때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사이드카(일시효력정지)가 지난해 8월 이후 8개월만에 발동되기도 했다.당초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주말까지만 해도 8만 2000달러 지지선을 유지했다. 최근 커플링(동조화) 현상이 강화된 미 증시와 엇갈린 움직임을 보인 셈이다. 오히려 비트코인은 '관세 안전지대'가 될 수 있다는 분석 등에 힘입어 미 증시 급락세가 시작된 지난 4~5일 일시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선방했다.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 회장은 미 정부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직후 "비트코인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국내 주식 투자자 사이에서 반대매매 주의보가 발령됐다. 이번 급락 장세가 단기간에 진정되지 않으면 개인 ‘빚투’ 계좌에서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에 따른 일괄 강제매도 물량이 쏟아질 것이란 경고가 나온다.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미국발(發) 관세 우려로 증시가 출렁인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위탁매매 미수금 대비 실제 반대매매 금액은 약 39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31일과 다음 날인 이달 1일 반대매매 물량이 집중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기간 반대매매 규모는 254억원에 달했다. 증시가 흔들리기 시작한 지난달 27일 여러 종목 주가가 무더기로 담보유지비율 밑으로 떨어진 데 따른 영향이다.반대매매는 신용을 활용해 매수한 주식의 가치가 단기간 급락하며 담보유지비율(보통 140%) 아래로 밀릴 때 발생한다. 추가 담보금을 넣지 않으면 증권사가 2거래일 뒤 시세보다 싼 가격에 강제 처분하는 방식이다.신용거래 융자액이 지나치게 많은 점도 문제다. 신용거래 융자액은 지난 3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9조7859억원, 코스닥시장 7조1861억원으로 총 16조9720억원에 달했다. 작년 말 15조8170억원 대비 7.3% 늘어난 수치다.금융투자업계에선 신용거래 잔액 비중이 높은 종목엔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단기간 주가가 뛴 만큼 시장 분위기에 따라 언제든 반대매매 물량이 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신용거래 잔액 비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대호에이엘로 9.04%다. 올 들어 이날까지 주가가 23% 넘게 올랐다.인공지능(AI) 붐을 타며 올해 주가가 급등한 액침냉각 기술 업체 삼성공조 역시 신용거래 잔액률 8.49%를 기록 중이다. 코스닥시장에선 정치 테마주 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