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발 뗀 '민영 우리은행'] 예보 잔여지분 매각 어떻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점주주에 우선권 주거나 4% 미만 분산매각 가능성도"
금융위 "과점주주 경영권에 영향주지 않는 선에서 결정"
금융위 "과점주주 경영권에 영향주지 않는 선에서 결정"
![[첫발 뗀 '민영 우리은행'] 예보 잔여지분 매각 어떻게](https://img.hankyung.com/photo/201611/AA.12827316.1.jpg)
정부는 예보 잔여지분과 관계없이 민간 과점주주의 자율경영을 보장하겠다는 방침을 지난 8월 내놨다. 앞으로 7개 과점주주의 의사를 반영해 이사회를 꾸리고, 새 이사회에 차기 행장 선임권을 줄 계획이다.
ADVERTISEMENT
또 예보는 그동안 우리은행 이사회에 비상무이사를 파견해 경영 전반을 챙겼지만, 과점주주들이 구성할 새 이사회에선 비상무이사의 권한을 대폭 축소할 방침이다.
![[첫발 뗀 '민영 우리은행'] 예보 잔여지분 매각 어떻게](https://img.hankyung.com/photo/201611/AA.12827317.1.jpg)
ADVERTISEMENT
금융권에선 정부가 예보 잔여지분을 매각할 때 7개 과점주주에 우선매입권을 주거나 4% 미만씩 블록세일(시간외 대량매매)을 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도 “예보 잔여지분은 과점주주의 경영권 행사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선에서 매각 방식 등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에 29.7%의 예보 지분을 매각함으로써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 중 2조4000여억원을 회수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옛 우리금융지주 포함)에 투입한 전체 공적자금(12조7663억원) 가운데 이미 회수한 금액(8조2869억원)을 포함한 회수율은 83.4%다. 남은 공적자금은 2조794억원가량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