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독립운동가 이한응 선생·호국영웅 이장원 중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가보훈처는 6·25전쟁 당시 소대 병력으로 북한군 대대 병력과 맞서다가 전사한 이장원 해병 중위(오른쪽)를 ‘11월의 6·25전쟁 호국영웅’에, 영국에서 구국외교를 펼친 이한응 선생(왼쪽)을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이 중위는 1951년 11월 함경남도 영흥만 인근에 있는 황토도 주둔 해병대 소대장으로 이곳을 빼앗으려는 북한군 기습공격을 두 차례 막아냈다. 11월29일 1개 대대 병력을 동원한 북한의 대규모 공격에도 물러서지 않던 이 중위는 집중포격을 받아 전사했고 소대장의 최후에 분노한 해병들은 소대 병력으로 적 1개 대대를 격멸했다. 이 중위는 대한제국 시대부터 국난 극복을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자 가문 출신으로 증조부 이남규, 조부 이충구, 부친 이승복 선생과 함께 국립현충원에 안장됐다.
이 선생은 1901년 3월 주영공사관 참서관으로 영국에 파견됐으며 러일전쟁 당시 영국 외무장관에게 거중조정을 요청하는 등 활발한 외교활동을 했다. 그는 1905년 5월12일 대한제국 외교관으로서 국권이 상실돼 가는 것을 막지 못한다는 한계를 절감하고 비통한 심정에서 자결, 순국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이 중위는 1951년 11월 함경남도 영흥만 인근에 있는 황토도 주둔 해병대 소대장으로 이곳을 빼앗으려는 북한군 기습공격을 두 차례 막아냈다. 11월29일 1개 대대 병력을 동원한 북한의 대규모 공격에도 물러서지 않던 이 중위는 집중포격을 받아 전사했고 소대장의 최후에 분노한 해병들은 소대 병력으로 적 1개 대대를 격멸했다. 이 중위는 대한제국 시대부터 국난 극복을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자 가문 출신으로 증조부 이남규, 조부 이충구, 부친 이승복 선생과 함께 국립현충원에 안장됐다.
이 선생은 1901년 3월 주영공사관 참서관으로 영국에 파견됐으며 러일전쟁 당시 영국 외무장관에게 거중조정을 요청하는 등 활발한 외교활동을 했다. 그는 1905년 5월12일 대한제국 외교관으로서 국권이 상실돼 가는 것을 막지 못한다는 한계를 절감하고 비통한 심정에서 자결, 순국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