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느 모임에서도 자녀의 SNS는 단연 화제다. 엄마끼리는 수다를 통해 나름의 원칙을 정한다. 일단 자식과 ‘페친(페이스북 친구)’이 되면 보고도 못 본 척, 알아도 모르는 척하는 게 통상의 규칙이다. 그렇지 않으면 아들 딸은 계정을 이전하거나 폐쇄하거나, 분명 달아날 게 뻔하다.
부모가 자식을 알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엄마는 궁여지책으로 자녀의 사회연결망부터 기웃거린다. 그러나 일거수일투족을 담는 SNS에 부모를 초대할 리 만무하다. 감시가 좋다며 방에 폐쇄회로TV(CCTV) 설치하길 동의할 아이는 없다.
치맛바람에서 나아가 요즘은 평생 자녀 주위를 맴돈다는 ‘헬리콥터맘’까지 등장했다. 눈 닿는 곳에 아이를 두고 모든 걸 마음대로 휘두르려는 부모가 많다. 부모가 살아온 길과 자식이 나아갈 길이 다름을 왜 모르는 걸까. 세상의 변화를 인정하지 않으면 세대 간 갈등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아무리 채워도 차지 않는 게 내리사랑이라지만, 때로는 이것이 너무 과하지 않나 싶다. 자식을 위한다지만, 꽃길만 걷게 하는 게 능사가 아니다. 잘 가꿔진 길은 지루해 갖은 의욕을 잃게 하고, 각종 변수에 대처할 능력까지 상실하게 한다.
지금의 나는 어떤 엄마일까 자문해본다. 왜 자꾸 잊을까. 30대 중후반, 스스로를 나쁜 엄마라 여겼던 괴로움은 완벽한 양육이 환상인 걸 인정한 뒤에야 비로소 사라졌다. 삶에 ‘완벽’이라는 단어처럼 불완전한 것이 없다.
맞닥뜨리는 고비마다 그에 맞는 균형을 찾아가는 게 최선이 아닐까 싶다. 사랑은 외방향일 때보다 양방향일 때 균형을 갖는다. 일방적인 애정은 어느 한쪽에게 무거운 짐이 될 뿐이다.
너무 가깝지도, 너무 멀지도 않은 거리가 부모와 자식 간에도 필요하다. 관계의 여백이 마음의 여유를 만든다. 사이에 공간이 없으면 부딪히기 마련이다. 또 적당히 빈 공간이 있어야 서로 메울 노력을 하며 살지 않겠는가. 오늘부터 여유를 갖고 아들에게 다가서려 한다. 부모가 비워둔 자리보다 조금 가까이, 이제는 자식이 먼저 다가오길 기다리면서 ….
박수경 < 듀오정보 대표 ceo@duonet.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