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미 당국, 교환제품 ATL 배터리도 다른 결함 의심"
FT "배터리 아닌 다른 곳에 원인?…ATL, 수요 줄지만 오명 씻어"


삼성전자가 갤럭시 노트 7을 출시 2개월 만에 단종하면서 그 원인을 둘러싸고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당초 지난달 글로벌 리콜 발표 당시에는 삼성 SDI가 제조한 배터리 결함이 문제로 지적된 가운데 교환제품에 들어간 중국 ATL의 배터리에도 결함이 있는지, 다른 원인이 있는지가 논란의 핵심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12일 소식통을 인용, 미국 당국의 조사관들이 글로벌 리콜을 통해 교환된 갤노트 7의 발화 원인으로 지난번 글로벌 리콜 당시 배터리 결함과는 또 다른 배터리 결함을 의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당국이 최근 발화 흔적이 남은 증거물에 대해 예비조사를 거친 결과, 교환제품에 들어간 중국 ATL 제조 배터리가 문제가 되고 있다고 소식통은 밝혔다.

이 문제는 삼성전자가 삼성SDI 제조 배터리가 들어간 갤노트 7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공급라인에 들어갔을 것이라고 이 소식통은 덧붙였다.

삼성SDI 제조 배터리는 갤노트 7에 들어가기에 크기가 약간 컸다고 미국 소비자안전 당국은 지적한 바 있다.

이같이 명백한 새로운 결함의 발견은 삼성전자가 조기 단종을 결정한 이유를 설명해준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ATL 배터리가 탑재된 갤노트 7의 발화 사례로 지금까지 주요 언론매체 보도 등을 통해 알려진 것은 미국 6건, 한국 1건, 중국 1건, 대만 1건 등이다.

글로벌 리콜 전에는 미국에서만 92건의 배터리 발화·과열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이들 제품에는 삼성SDI 배터리가 들어있었다.

반면에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48시간은 갤노트 7 교환제품에 배터리를 공급한 중국 ATL에도 악몽 같은 시간이었을 것이라며 삼성전자의 단종 결정으로 이 회사의 수요는 급감할 테지만, 배터리 결함이 갤노트 7 발화의 주요인이라는 오명은 씻은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놨다.

당초 갤노트 7의 배터리 35%를 공급하던 ATL은 삼성SDI의 배터리가 들어간 제품이 잇따라 발화하자, 삼성전자가 글로벌 리콜을 결정하면서 갤노트 7 교환제품 배터리 전량을 공급해달라는 주문을 받고 주가가 치솟았었다.

하지만 ATL 배터리가 장착된 새 제품에서도 발화 사례가 잇따르면서 역시 위험한 배터리를 찍어낸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았다.

FT는 그러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 삼성의 갑작스러운 갤노트 7 단종 결정은 발화의 원인이 배터리 외부에 있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1999년 홍콩에서 설립된 ATL은 일본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업체 TDK가 2005년 사들인 자회사다.

ATL은 2005년 이후 폴리머 배터리 기술과 급속충전 능력에 연구개발을 집중하면서, 세계 4대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업체로 성장했다.

작년 기준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점유율은 10%다.

ATL 매출의 65%는 스마트폰에서 나고, 이 중 절반은 애플에서 발생한다.

애플은 새 아이폰 7s 배터리의 80%를 ATL에서 공급받는다.

한편,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삼성이 갤노트 7을 포기한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삼성전자는 지난 8월 일부 갤노트 7이 갑자기 폭발하자 원인 분석을 위해 수백 명의 직원들을 투입했지만, 아무도 폭발을 재연해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시간에 쫓긴 삼성의 기술자들은 초기에 발화 원인으로 삼성SDI의 배터리 결함을 지목하고, 다른 공급업체인 ATL의 배터리로 교체했다.

하지만 교체 후에도 역시 발화사례가 잇따르자 다시 원인 분석에 나섰지만, 여전히 폭발을 재연해내지 못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한국 국가기술표준원의 분석결과를 봤다는 박철완 전 한국전자부품연구원 차세대전지센터장은 NYT와 전화인터뷰에서 "배터리에 책임을 돌리기에는 너무 일렀다"면서 "배터리에 아무 이상이 없었거나, 주된 문제가 아니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발화의 원인 분석에 투입됐던 수백 명의 실험자들이 서로 쉽게 소통하지 못한 것은 문제였다는 지적도 나왔다.

삼성은 소송과 소환에 대한 두려움에 원인 분석에 투입된 직원들에게 실험결과에 관한 소통을 오프라인으로 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따라 이메일 등은 금지됐다.

박 전 센터장은 삼성 기술자들과 얘기했지만, 아무도 무엇이 일어났는지 모르고 폭발을 재연해낼 수 없었다고 전했다.

그는 만약 문제가 칩보드나 디자인에 있었다면 재연이 쉬웠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문제는 훨씬 더 복잡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갤노트 7은 기존에 제조된 어떤 다른 스마트폰보다 복잡하고 특색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삼성이 아이폰을 뛰어넘기 위해 갤노트7을 너무 혁신으로 가득 채우는 바람에 통제 불가능하게 돼버린 것 같다"고 꼬집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