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HAP PHOTO-2110> 질의하는 김수민 의원    (나주=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5일 오전 전남 나주시 한국전력공사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당 김수민 의원이 질의를 하고 있다. 2016.10.5    minu21@yna.co.kr/2016-10-05 11:33:26/<저작권자 ⓒ 1980-2016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lt;YONHAP PHOTO-2110&gt; 질의하는 김수민 의원 (나주=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5일 오전 전남 나주시 한국전력공사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당 김수민 의원이 질의를 하고 있다. 2016.10.5 minu21@yna.co.kr/2016-10-05 11:33:26/&lt;저작권자 ⓒ 1980-2016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gt;
김수민 국민의당 의원(사진)은 10일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수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1000㎿(메가와트)급 화력발전소가 핵심 부품을 모두 일본산으로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수출이 성사되더라도 일본 기업 실적만 올려줄 것이라는 주장이다.

2011년 ‘블랙아웃 사태’ 이후 산자부는 화력발전소 건설을 집중적으로 허가했다. 지금까지 완공됐거나 건설 중인 화력발전소는 총 19기로 사업비가 20조7000억원에 이른다.

그런데 발전공기업 5개사가 세계 최초의 1000㎿ 발전소를 지으면서 사용된 터빈, 보일러 등의 핵심 부품은 모두 일본 제품이다. 특히 전범기업으로 유명한 미쓰비시중공업 제품이 가장 많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김 의원은 “발전소는 운영 안정성이 중요하고 입찰 시 실적을 많이 봐 건설경력이 있는 기업이 매우 유리하다”며 “이번 건설실적을 바탕으로 일본 기업들의 수출에 발판을 만들어준 격”이라고 했다.

하지만 동서발전이 발주한 당진화력발전소의 경우 터빈과 발전기는 미쓰비시, 보일러는 히타치 등 모두 일본산을 채택했음에도 터빈 날개가 파손돼 화재까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고 탓에 당진 9호기는 당초 목표보다 200일 늦은 2016년 7월에야 상업운전을 시작했고, 129억원의 피해를 봤다.

김 의원은 “공기업은 리스크를 안더라도 국내 기업 제품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