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공기업]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연금 가입자 매년 꾸준히 증가…고령 농민들의 든든한 노후 버팀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혁신 공기업]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연금 가입자 매년 꾸준히 증가…고령 농민들의 든든한 노후 버팀목](https://img.hankyung.com/photo/201610/AA.12648545.1.jpg)
이 제도는 농업소득 외 별도 소득이 없는 고령 농민의 안정적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일종의 ‘역모기지’ 제도다. 역모기지는 고령자가 보유하고 있는 주택을 담보로 금융회사에서 매월 일정액을 연금 형식으로 받는 대출상품. 농지연금은 주택 대신 농지를 한국농어촌공사에 맡기는 것이 차이점이다.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은행이 농지 매입, 임대 등 사업으로 재원을 확보해 연금을 지급한다.
ADVERTISEMENT
국민연금·기초연금 수령자도 가입 가능
![[혁신 공기업]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연금 가입자 매년 꾸준히 증가…고령 농민들의 든든한 노후 버팀목](https://img.hankyung.com/photo/201610/AA.12648792.1.jpg)
ADVERTISEMENT
농지연금에 가입하려면 주소지 관할 한국농어촌공사 지사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인터넷으로 농지연금포털(www.fplove.or.kr)에 접속해 상담을 신청할 수도 있다. 가입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농지연금신청서와 신분증이다. 인터넷 발급이 가능한 등기부등본과 토지대장 등은 공사 측에서 열람과 발급을 대행한다.
농지연금에 가입하면 농어촌공사가 해당 농지에 근저당권을 설정하고 이때 주민등록등본, 등기권리증, 인감증명서 등의 서류가 필요하다. 신청자 명의로 소유권 등기가 돼 있는 농지는 가입 때 배우자나 자녀의 동의가 필요 없다. 하지만 농지 소유가 부부 공동이라면 배우자 동의를 받아야 한다.
ADVERTISEMENT
![[혁신 공기업]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연금 가입자 매년 꾸준히 증가…고령 농민들의 든든한 노후 버팀목](https://img.hankyung.com/photo/201610/AA.12648987.1.jpg)
월 지급금은 가입자 연령과 담보농지 평가 가격에 따라 달라진다. 가입 연령이 높을수록, 담보농지 평가 가격이 높을수록 월 지급금이 많아지는 구조다. 가령 종신형에 가입한 농민의 담보농지 평가 가격이 3억원이라면 65세 농민은 월 109만2000원을 받을 수 있지만 90세 농민은 월 270만9000원을 받는다. 다만 고령 농민의 생활안정 제도라는 점을 감안해 최대 월 지급금은 300만원으로 제한된다.
ADVERTISEMENT
이상무 사장은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홍보로 농지연금이 고령 농업인의 적절한 노후대비책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많은 고령 농업인이 농지연금에 가입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