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연구결과, 신체기능 저하·불안감 등 사망률과 유의한 상관관계 보여

폐암 치료를 받은 후 삶의 질이 떨어진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영호 서울대병원 암통합케어센터 교수팀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 국립암센터와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 후 완치를 판정받은 폐암 환자 809명을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809명 중 11.9%에 해당하는 96명이 해당 기간에 사망했으며 이후 성별, 연령 등을 통계학적으로 보정해 삶의 질과 사망률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신체기능이 떨어진 환자는 사망 위험이 2.4배 높았다.

호흡곤란(1.6배), 불안감(2.1배), 질환으로 인한 정신적 충격을 이겨내는 내적 역량 저하(2.4배) 등도 역시 사망률에 영향을 끼쳤다.

저체중(1.7배)과 수술 후 운동 부족(1.5배)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국내 암 사망률 1위를 기록하는 폐암은 장기 생존이 어려운 암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윤영호 교수는 "그동안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과 사망 위험 간의 상관성을 장기간에 걸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폐암 치료 후 질환의 재발 감시와 더불어 운동·식이요법 등 삶의 질을 평가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진료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암 전문학술지'(BMC Cancer)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k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