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당내 사드 반대론자들을 향해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고 한다. 김 대표는 “한국의 안보가 한·미 동맹을 기초로 유지돼 왔다는 점을 이해한다면 어떻게 반대하느냐”며 “과거 반대를 일삼던 ‘도로 민주당’으로 돌아가겠다는 거냐”고 반대파에 강하게 경고했다. 김 대표는 당내 초선의원 6명이 중국을 방문키로 한 것에 대해서도 “괜히 갔다가 중국에 이용당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부정적인 생각을 명확히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적 현안에서 제1 야당 대표가 책임있는 말을 분명하게 했다. 문제는 방중을 고집하는 의원들이 이 경고를 새겨듣고 지금이라도 계획을 바로잡을 것이냐다.

김 대표의 우려는 이미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 관영언론 중 하나인 환구시보는 기다렸다는 듯 ‘사드에 반대하는 의원들이 방중에 앞서 공격받고 있다’는 제하의 기사에서 “중국 측 의견을 이해하려는 ‘소통의 여행’이 한국 언론과 정부로부터 ‘매국 행위’로 비난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인민일보 등 관영언론을 총동원해 터무니없는 트집잡기 공세를 벌였던 중국이 한국 의원들의 방중을 기화로 여론 분열을 획책하는 행태를 한층 노골화한 것이다.

중국의 한류행사 취소 등에 대한 우리 반응만 해도 그렇다. 치졸하기 짝이 없는 중국의 보복이지만, 이에 대한 과도한 반응이 오히려 더 문제다. 중국의 보복 루머가 한국 언론에 증폭 보도되면 이게 다시 중국 언론에 인용되면서 여론공세가 확대되고 있다. 모두 중국의 의도에 놀아나는 꼴이다. 이런 판국에 야당 의원들까지 우르르 몰려가 반대하면 한국을 분열구도로 만들려는 중국의 의도에 휘말릴 뿐이다.

야당도 안보문제에서는 국익을 먼저 생각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집권을 염두에 뒀다면 더욱 그렇다. 김 대표는 한·미 동맹이 손상돼 주한미군이 주둔하지 않기라도 하면 그 다음날부터 한국 경제는 무너질 것이라는 말도 했다고 한다. 정확한 상황 인식이다. 중국으로 가겠다는 의원 6명은 당 대표의 경고에 자신들의 의견부터 밝혀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