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평택 이전, 반대 시위로 42개월 지체…제주 해군기지, 외부세력 개입으로 14개월 표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대한민국…용기있는 정치인이 없다
국책사업마다 갈등 반복
국책사업마다 갈등 반복

총 사업비 1조765억원이 투입된 제주 민군복합항(해군기지 포함) 건설이 대표적이다. 정부가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검토하기 시작한 것은 1993년. 핵심 수출입 해상로를 보호하고 중국과의 해양 경계선 분쟁 시 신속한 대응 차원에서 제주 기지 필요성이 제기됐다. 군당국은 2005년 3월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제주 강정마을에 2008~2014년 구축함과 잠수함 등 20여척이 정박할 부두시설을 포함한 12만평 규모를 개발한다는 내용이었다.
ADVERTISEMENT
주한미군기지의 평택 이전 과정에서 벌어진 시위는 ‘반미(反美) 정치투쟁장’이 됐다. 2003년 4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합의로 시작된 기지 이전 사업은 용산과 의정부, 동두천에 주둔 중인 미군 주력부대를 평택으로 옮기는 것이다. 시민단체와 일부 주민의 반대로 사업은 3년6개월가량 지체됐다. 평택기지 반대시위로 인한 사회적 비용 손실은 537억원으로 추산됐다(단국대 분쟁해결연구센터 발표).
KTX고속철도 대구~부산 구간 천성산 터널공사는 “늪지 파괴로 도롱뇽 서식지가 없어지고, 지하수도 고갈될 것”이라는 환경단체의 반대로 1년4개월간 공사가 중단됐다. 공사 뒤 오히려 더 많은 늪이 형성됐고, 도롱뇽의 서식지도 보존된 것으로 확인됐다.
ADVERTISEMENT
홍영식 선임기자 ysho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