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의 CJ헬로비전 인수 무산] '승인 조건' 7개월 고심하던 공정위, 지난주말 불허로 전격 선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정위 초강수 배경은
합병법인, 방송권역 23개중 21곳서 1위
공정위 "방송시장 독점 가능성 크다"
합병법인, 방송권역 23개중 21곳서 1위
공정위 "방송시장 독점 가능성 크다"

(1) 불허 이유는?
ADVERTISEMENT
![[SKT의 CJ헬로비전 인수 무산] '승인 조건' 7개월 고심하던 공정위, 지난주말 불허로 전격 선회](https://img.hankyung.com/photo/201607/01.11955777.1.jpg)
(2) 4일 오전 무슨 일이?
지난 217일간 공정위의 합병 심사에 대한 공식 입장은 한결같았다. ‘심사 기한이 남았고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였다. 정재찬 공정위원장도 지난달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사무처에서 아직 조사 중이고 방송·통신시장 관련 자료를 다시 살펴보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심사보고서가 곧 나올 것 같지 않다는 뉘앙스를 풍겼다. 심지어 심사보고서를 발송한 지난 4일 오전에도 공정위는 ‘모르쇠’로 일관했다. 공정위는 5일 오전 10시 “시정조치 방향과 구체적인 내용 등 공정위 입장이나 심사일정은 결정된 것이 없으니 보도에 유의해달라”고 발표했다. 그리고 2시간 뒤 공정위는 전격적으로 ‘합병 금지’ 내용을 담은 심사보고서를 SK텔레콤에 보냈다.
ADVERTISEMENT
(3) 정치적 판단 작용했나?
당초 시장은 물론 관계 부처에서는 공정위가 ‘조건부 승인’을 내놓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만큼 ‘불허’는 예상 밖이었다. 이 때문에 공정위의 판단이 막판에 전격적으로 이뤄지는 과정에서 정치적 판단이 개입된 것 아니냐는 게 업계 일각에서 제기되는 의문이다.
ADVERTISEMENT
20대 국회가 ‘여소야대’로 바뀐 게 공정위 판단에 영향을 줬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여당이 ‘대기업 특혜’ 의혹을 의식해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M&A 건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은 사이 야당은 ‘독점 심화’ 논리로 줄곧 반대 의견을 밝혀왔다. 공중파 방송사의 입장을 대변하는 방송협회가 ‘합병 반대’를 주장하며 정부와 청와대를 압박한 것이 ‘합병 금지’ 결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줬다는 해석도 있다.
(4) 권역별 경쟁제한 판단 맞나?
ADVERTISEMENT
공정위도 2013년 12월 발표한 ‘2013년 경쟁제한적 규제 개선방안 확정’ 보도자료를 통해 ‘사업자에게 일정한 방송구역 안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권리를 부여하는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공정위가 과거 권역별 사업자 지정이 불합리하다고 판단했으면서 이번 심사 땐 권역별 점유율을 산정해 ‘자가당착’에 빠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론도 있다. 한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슈퍼나 지역 케이블TV는 지리적으로 근접한 소비자에게 주는 영향력이 크다”고 설명했다.
황정수/이정호/김태훈 기자 hjs@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