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호텔' 등 사무실에 인기척 없고 전화도 안받아

국민의당 김수민 의원의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수수 의혹에 연루된 업체들은 검찰의 압수수색을 당한 이후 하나같이 문을 걸어 잠궜다.

김 의원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서부지검이 이달 9일 사건에 연루된 업체 등 6곳을 전격적으로 압수수색한 지 나흘이 지난 13일 오전 압수수색을 당한 업체 3곳을 찾아갔지만 사무실은 모두 잠겨 있었고직원들도 나오지 않았다.

우선 김 의원이 국민의당 비례대표 후보가 되기 직전까지 대표를 지낸 디자인 벤처기업 '브랜드호텔' 사무실은 이 업체가 입주한 건물 입구에서부터 접근이 불가능했다.

이 업체는 용산구의 한 대학교 캠퍼스 바로 옆 건물에 입주해 있는데 건물 경비원이 취재진의 접근을 아예 차단했다.

건물 입구에는 외부인은 출입할 수 없다는 표지가 붙었다.

경비원은 "(브랜드호텔 사무실에는)아무도 출근하지 않았다"며 "취재진이 하도 많이 와서 다른 업체들 민원이 많아 기자들 출입을 막고 있다.

김수민 대표는 3월 이후 본 적이 없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브랜드호텔을 통해 올해 4월 총선 당시 국민의당 홍보 업무를 대행했던 2개 업체로부터 2억3천820만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를 받는다.

국민의당 총선 공보물을 제작하고 받은 수수료 가운데 1억1천만원을 브랜드호텔에 건넨 것으로 알려진 B업체의 중구 소재 사무실 역시 문이 굳게 잠긴 채 응답이 없었다.

이 사무실 직원들은 검찰 압수수색 이후 아예 발길을 끊은 것으로 전해졌다.

바로 옆 다른 업체 관계자는 "압수수색 이후 아무도 안 나오는 것 같더라"라며 "평소 교류가 없어서 무슨 일인지는 잘 모른다"고 말했다.

강남구에 위치한 TV광고 대행업체 S업체의 사무실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문이 잠겼고, 회사 명패가 붙어 있었을 자리에는 나사못만 덩그러니 남아 있었다.

사무실 내부에서는 인기척이 없었고, 업체 관계자에게 전화를 걸어봐도 받지 않았다.

같은 건물을 쓰는 다른 회사 직원은 "압수수색 당하는 날 시끌벅적하더니 그 후로는 출근하는 사람이 없는 듯 조용하다"고 귀띔했다.

이 업체는 국민의당 총선 TV광고를 대행한 수수료 중 6천820만원을 건네고,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방식으로 6천만원도 추가로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들 업체가 브랜드호텔에 넘긴 돈이 김 의원에게 전달됐고 이 돈이 다시 불법 정치자금으로 국민의당으로 흘러 들어갔다고 의심, 이 혐의를 입증하고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이 과정에 박선숙 전 사무총장과 왕주현 전 사무부총장이 관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만간 검찰 조사가 진행될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당은 당 차원의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이날 활동을 개시했다.

(서울연합뉴스) 이효석 최평천 기자 hy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