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초반 유명 벤처기업인 영입 직전 고사
당 PI 홍보 작업해오던 김 의원이 막판 후보군 포함
당내 김 의원 자격 시비 등 공천 의혹 제기 꾸준

국민의당의 4·13 총선 비례대표 선정 과정에서 애초 '청년 창업 벤처혁명' 몫의 비례대표 유력 후보군에 김수민(30) 의원이 포함되지 않았으나, 후보군들이 모두 고사하는 바람에 고육지책으로 김 의원이 선택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천 마감에 쫓긴 가운데 안철수 천정배 상임공동대표 등 지도부가 당의 브랜드 홍보 작업에 참여한 기업 대표로 눈여겨봐뒀던 김 의원을 포함한 몇 명의 후보를 놓고 막판 저울질하다가 김 의원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13일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들과 비례추천의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당시 인재영입위원장을 맡았던 김영환 사무총장이 중심이 돼 청년 창업벤처 비례대표를 영입하려 했다.

국민의당은 전략공천 몫으로 과학기술 혁명, 교육혁명, 창업 벤처 혁명 등의 몫으로 3명을 배정했다.

이에 따라 안 대표와 천 대표 등 지도부는 비례대표 1번 과학기술 혁명과 2번 교육혁명 몫으로 각각 신용현, 오세정 의원을 전략공천했다.

비례대표 1, 2번을 찾는 과정에서 상당한 난항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지만, 창업 벤처혁명 몫은 막판까지 인재 영입시도가 무위에 그쳤다.

김 사무총장이 벤처 기업인을 중심으로 수십명을 상대로 타진했으나, 제안한 비례대표 순번이 당선 안정권 밖인데다, 정치입문에 대한 부담으로 대부분 고사했다.

특히 김 사무총장은 막판에 사회적기업을 창업했다가 수십억원에 매각해 유명세를 탄 30대 초반의 벤처 기업가의 영입을 가시화했다가 막판 개인적인 사정으로 틀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벤처 기업가는 일부 공천심사위원과 사전 면담까지 하는 등 검증 과정을 거쳤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당시 당의 지지율이 6∼8% 바닥을 칠 때여서 젊은 인재를이 합류하는 것을 주저한데다, 당선 안정권도 6번 이내로 간주돼 더욱 그랬다"고 말했다.

이런 과정에서 공천 마감 시간이 임박하자, 국민의당은 애초 홍보 업무를 통해 눈여겨봐뒀던 김 의원을 포함해 몇 명의 인사들을 안 대표와 천 대표 등 지도부에게 추가로 올렸고, 두 대표는 김 의원의 공천을 확정지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채이배(41) 의원이 비례대표 6번, 김 의원이 7번을 받은 이유도 미래정당을 표방한 국민의당 비례대표 후보들의 평균 연령이 50대로 높은 점 등이 감안돼 앞당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김 의원은 이 사건과 연루돼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는 서울의 한 대학의 김 모 교수에 의해 국민의당에 추천됐다.

김 모 교수는 김 사무총장이 당에 추천한 인사로, 김 의원의 모교 지도교수이자 김 의원이 대표로 있던 디자인 관련 벤처기업 브랜드호텔을 처음 만든 인물이다
이와 관련해 당내에서 '리베이트 의혹'을 제기해온 한 인사는 "김 사무총장이 당에 김 의원을 소개한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사무총장은 "내가 김 교수를 당에 소개했다.

당시 선거캠프에서 너무나 홍보 작업이 안 됐기 때문이다"면서 "그러나 김 의원은 내가 추천한 사람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안 대표는 총선 전인 지난 3월 3일 청년 벤처 창업 현장을 둘러보는 일정으로 브랜드호텔을 방문해 김 의원으로부터 정치 홍보 등과 관련한 브리핑을 들었고, 이어 브랜드호텔은 국민의당의 PI(Party Idendtity) 업무를 맡게 됐다.

같은 달 22일에는 안 대표가 김 의원과 함께 국민의당의 PI를 발표했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김 의원이 지도부에 알려진 셈이다.

김 의원이 낙점받기 직전에서야 김 의원의 아버지가 전 신한국당 전국구 의원이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도부에 "재고해야 하다"는 의견도 개진됐으나 지도부 내에서 "아버지의 정치활동 문제를 딸에게 적용하는 것이 맞느냐"는 의견이 나오며 비례대표 후보로 최종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김 의원의 공천 직후부터 자격시비가 제기돼오는 등 공천 과정에 대한 의구심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당내 다른 관계자는 "검찰이 밝혀야 할 것"이라며 "감추려면 안된다"고 말했다.

총선 당시 지역구 공천심사위원을 지닌 한 인사는 "리베이트 문제가 불거진 것만으로 문제가 있다.

비례추천위에서 검증을 거쳤어야 했다"면서 "자기들이 무조건 문제가 없다고 하면 안된다.

비례추천위원들도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홍지인 기자 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