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바이오클러스터, 연 2조원 투자금 몰리는 '생명공학 허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불붙은 바이오클러스터 전쟁 (2)
세계 최다 바이오 특허
200여개 기업에 5만여명 근무…대학·글로벌기업·벤처 협업
스탠퍼드대 출신 등 인재 몰려…제넨테크 연 20조 매출 '대박'
세계 최다 바이오 특허
200여개 기업에 5만여명 근무…대학·글로벌기업·벤처 협업
스탠퍼드대 출신 등 인재 몰려…제넨테크 연 20조 매출 '대박'

5일(현지시간) 사우스샌프란시스코시 오이스터 포인트 대로로 들어서니 동그란 원 안에 유전자 모양으로 된 입간판이 눈에 띄었다. 제넨테크, 암젠 등 세계적인 바이오 기업이 몰려 있는 샌프란시스코 바이오클러스터의 상징이다. 이날 기자와 동행한 마이클 라펜 사우스샌프란시스코시 경제지역개발부 담당관은 “샌프란시스코는 생명공학의 탄생 정신이 살아 있는 곳”이라며 “200여개 글로벌 기업과 벤처기업에서 약 5만명이 근무하며 세상을 바꿀 혁신적인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샌프란시스코 바이오클러스터는 1976년 둥지를 튼 바이오 기업 원조격인 제넨테크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바이오 기업과 연구개발(R&D) 센터, 전문 인력이 몰려들어 형성됐다. 벤처캐피털(VC: 벤처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기관)들도 발 빠르게 찾아왔다. 작년 기준으로 이곳 바이오벤처에 투자된 금액은 18억달러에 이른다.
ADVERTISEMENT

클러스터 내 기업들은 대학 및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클러스터 기업이 등록한 특허만 8851개에 이른다. 전 세계 바이오클러스터 가운데 가장 많다. 항공·물류 등 사회기반시설까지 완벽하게 갖추고 있다.
○연 20조원 매출 기업 입주
ADVERTISEMENT
이 같은 가치를 인정받아 다국적 제약사 로슈는 지속적으로 지분 투자를 확대해왔다. 로슈는 2009년 남아 있던 지분 44%를 478억달러(약 57조원)에 전량 사들였다.
로슈에 인수된 이후에도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제넨테크는 최근 방광암 치료제 테센트릭을 개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허가를 받았다. 직원 네 명으로 시작한 제넨테크는 현재 1만3720명을 고용하고 있다.
ADVERTISEMENT
시 정부의 지원이 더해지면서 샌프란시스코는 세계적인 바이오클러스터로 거듭났다. 사우스샌프란시스코시는 바이오클러스터에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3억달러(약 3500억원)를 투자해 교통, 정수시설 등 인프라를 개선했다. 주말에도 아일랜드와 독일 등 외국 바이오 관계자들을 초청해 바이오클러스터 입주를 독려하고 있다.
마크 아디에고 사우스샌프란시스코 시장은 “클러스터를 지금보다 55만㎡ 정도 더 늘릴 계획”이라며 “뛰어난 입지, 연구 인프라를 갖춘 세계 바이오클러스터의 중심지”라고 강조했다.
사우스 샌프란시스코=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