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조선 3사' 중 가장 먼저 금융당국과 주채권은행으로부터 자구안을 잠정 승인받아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착수한다.

현대중공업은 투자 유가증권과 부동산 매각, 인력 구조조정 등을 통해 부채비율을 100% 이하로 낮추는 등 2018년까지 3조500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시행에 옮길 예정이다.

1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지난 12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자구안을 주채권은행인 KEB하나은행에 제출해 전일 오후 잠정 승인이 확정됐다고 통보 받았다.

하나은행과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23일부터 삼일회계법인을 통해 8주 일정의 경영진단 실사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금융당국과 하나은행은 현대중공업이 제출한 자구계획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해외수주 등에 나설 수 있도록 먼저 잠정 승인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중공업이 제출한 자구계획에는 투자 목적으로 보유 중인 유가증권이나 울산 현대백화점 앞 부지와 울산 조선소 기숙사 매각 등 자산 처분 외에 지게차·태양광·로봇 등 사업 분야 분사 등이 포함됐다. 임금 반납과 연장근로 폐지, 비핵심업무 아웃소싱, 인력 조정 계획도 여기에 포함됐다.

이를 통해 현대중공업은 2018년까지 현재 8조5000억원(연결 기준 13조원)가량인 차입금을 2조원 이상 줄여 6조원대로 낮추고, 부채비율도 134%(연결 기준 218%)에서 100% 이하로 낮출 계획이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2014년 9월부터 독자적인 경영개선 작업을 벌여 3조9000억원 상당의 자구계획을 시행해왔다. 이에 현대중공업은 올해 1분기에 연결 기준 영업이익 3252억원을 기록하며 10분기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