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공정" 40% 불과
상관에 대한 만족도 낮아
"기회되면 이직" 25%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내가 받는 보수는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민간기업(대기업 수준)과 비교할 때 적정한 수준이다’는 항목에 52.9%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또 ‘업무 성과에 비춰 적정하다’(21.7%), ‘맡은 책임에 비춰 적정하다’(18.4%), ‘쌓아온 경험에 비춰 적정하다’(18.2%), ‘노력에 비춰 적정하다’(19.2%) 등 다른 항목에서도 보수에 만족하는 공무원이 10명 중 2명 정도에 불과했다.
후생복지에 대한 불만도 컸다. ‘공무원 후생복지제도는 민간기업(대기업 수준)과 비교할 때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는 항목에 60.3%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원하는 시기에 휴가나 연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응답은 28.0%에 그쳤다.
내부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불만도 컸다. ‘공정한 방식으로 의사결정이 이뤄진다’(39.6%), ‘모든 직원의 의견을 고려한다’(25.5%), ‘의사결정에 대해 직원들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29.1%) 등의 긍정적인 답변이 절반을 넘기지 못했다.
상관의 리더십에 대한 신뢰도 또한 높지 않았다. ‘상관이 일할 동기를 부여한다’고 생각하는 공무원은 43.8%에 그쳤다. ‘상관이 비전을 제시해 준다’는 항목엔 37.0%만 ‘그렇다’고 응답했다.
조직 혁신에 대해 우려하는 공무원이 많았다. ‘우리 기관은 융통성 있고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한다’는 문항에 41.4%만 ‘그렇다’고 대답했다. ‘혁신을 위해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용인한다’고 대답한 비율도 33.2%에 불과했다.
기회가 된다면 이직할 의향이 있는지를 설문한 결과 ‘그렇다’는 응답률이 25.1%였다. 이직 이유는 낮은 보수(26.3%), 승진 적체(20.1%), 과다한 업무(19.9%) 등의 순이었다.
조일형 행정연구원 초청연구위원은 “승진의 공정성과 보수의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승진과 보수는 직원의 사기와 직결된 문제인 만큼 이직 등 조직에 부정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