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붙이는 패치로 '정신건강 상태' 알아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이 대학 조영호 교수(바이오및뇌공학과) 연구팀이 이같은 연구 결과를 해외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ADVERTISEMENT
기존에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맥파 등 하나의 생리적 데이터만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때문에 운동, 더위, 추위, 심혈관 질환 등 스트레스 이외의 생리적 상태에 따른 영향을 구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조 교수팀이 개발한 우표 크기(25mm×15mm)의 부착형 패치는 맥박이 뛸 때 생기는 압력으로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공급해 외부 전원이나 배터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센서를 소형 패치 하나에 집적, 피부 접촉면적을 기존 패치의 125분의 1 수준으로 줄여 착용감을 높였다.
ADVERTISEMENT
연구팀은 “미래사회에선 고차원적 감정 조절과 정신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며 “급성장 중인 인공지능(AI) 기술과 접목하면 인간과 기계의 교감을 통해 정신적 만족감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KAIST는 “감정과 스트레스 징후를 연속적으로 측정, 미래사회에서 인간 감성과 정신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과학적 연구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ADVERTISEMENT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