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경영자' 임대홍 대상그룹 창업주 별세…국산 조미료 시장 개척한 '미원의 아버지'
한국 조미료 시장을 개척한 ‘미원의 아버지’ 임대홍 대상그룹 창업주(사진)가 지난 5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6세.

대상그룹은 “임 창업회장이 서울 강북삼성병원에서 5일 오후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며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가족장으로 조용히 치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가족과 대상그룹은 부고를 따로 내지 않고, 조화도 받지 않기로 했다.

1920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난 고인은 한국의 1세대 대표 기업인 중 한 명이다. 사업적으로는 모험과 도전을 주저하지 않던 기업가였다.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뒤에도 연구실에서 새로운 식품을 개발하던 발명가이기도 했다. 고인은 이리농림고를 졸업한 뒤 육가공 사업, 피혁사업에 도전해 성공과 실패를 거듭했다. 해방 후 시작한 무역업에서는 큰 성공을 거뒀다. 하지만 그는 멈추지 않았다. 일본 제품이 물밀 듯이 들어오는 것을 보고 뭔가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특히 일제 조미료 ‘아지노모토’가 그를 자극했다. 국내 시장을 점령한 것을 보고 국산 조미료 개발에 뛰어들기로 결심했다. 고인은 1955년 일본 오사카로 건너가 조미료의 주성분인 글루탐산 추출법을 배워 1956년 동아화성공업을 설립했다. 훗날 ‘국민 조미료’로 불린 미원을 선보였다.

고인은 “사무실보다 실험실을 더 좋아한다”는 말을 들을 만큼 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미원을 개발할 수 있었던 것도 그의 연구가로서의 자질 덕분이었다. 그는 이 같은 노력 덕에 자타가 공인하는 ‘발효 박사’로 인정받았다. 그 결과 대상그룹을 일본의 아지노모토, 미국의 ADM과 더불어 세계 3대 발효업체로 성장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개인적으로는 늘 겸손했고, 검소한 생활방식을 고집했다. 제품 개발과 경영에만 주력하고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다. ‘은둔의 경영자’로 불리기도 한 이유다. 1970년대 인도네시아, 일본, 홍콩 등지로 본격 진출하고, 1980년대 이후에는 조미료 외에 장류와 냉동식품, 육가공식품 등을 생산하는 종합식품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그의 경영 스타일에는 변화가 없었다. 1971년 사재를 출연해 장학재단을 설립하는 등 사회공헌활동에 적극적이었지만 이 역시 외부에 알리지 않고 조용히 추진했다. 검소한 생활도 널리 회자됐다. 그는 출장을 가면 비싼 호텔 대신 모텔이나 여관에 묵었고, 자동차보다는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1987년 임창욱 명예회장에게 경영권을 넘겨준 뒤 2000년대 초반까지 대상 사옥 뒤에 연구실을 두고 고추장, 된장 등을 연구했다. 2005년 부인 박하경 여사가 세상을 떠난 뒤엔 외부 활동을 거의 하지 않은 채 조용히 노년을 보냈다. 외부에 나서지 않던 고인은 세상을 떠날 때도 그렇게 가고 싶어했다고 대상그룹 측은 밝혔다. 이 같은 고인의 뜻에 따라 외부 조문을 일절 받지 않고 가족장으로 치르기로 했다.

유족으로는 아들인 임창욱 대상 명예회장과 임성욱 세원그룹 회장, 딸 경화씨, 사위 김종의 백광산업 회장, 손녀인 임세령 대상 전무와 임상민 상무 등이 있다. 빈소는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 2호실에 마련했다. 발인은 8일, 장지는 전북 정읍 선영이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