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가 상승률 전국 최고 수준, 아파트 3.3㎡당 2천만원 '훌쩍'
여야 후보들 "투기세력 막아야" 한목소리…해법 다양

전국 최고의 지가 상승률을 보이며 뜨겁게 달아오른 '부동산 가격 폭등'이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

지난해 서귀포시와 제주시의 땅값 상승률은 각각 7.97%와 7.32%로 전국 시·군·구 가운데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2015년 1년 간 제주에서 거래된 토지거래 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36.8배인 106.7㎢에 달한다.

이 가운데 40%가량이 제주도민이 아닌 다른 지역 거주자다.

전국 각지에서 제주 부동산 투자가 크게 늘며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재건축이 추진되는 49.22㎡ 크기의 제주시 이도주공1단지 아파트는 3억3천620만원에 거래됐다.

3.3㎡당 2천254만원이다.

최근엔 3.3㎡(평)당 2천500만원대의 아파트 매물도 나왔다.

일반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이 점차 멀어지는 '부의 양극화' 현상을 빗대 '집값이 미쳤다'는 말이 유행어처럼 번지고 있다.

이처럼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자 4·13 총선에 나선 제주시갑·을, 서귀포시 지역구 후보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대부분 후보는 시세 차익을 노린 부동산 투기세력을 막아야 한다는 데 공감하며 다양한 해법을 제시했다.

제주갑 양치석(58·새누리당) 후보는 "중산간 지역의 난개발을 막고 부동산 가격을 반드시 잡아야 한다"며 실거주자 주택 소유, 실제 경작자 농지 소유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을 공언했다.

같은 지역구 강창일(64·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서민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확대 보급, 제주에만 적용되는 분양가 원가 공개와 분양가 상한제 등을 도입하기 위한 관련 법·제도 개선을 약속했다.

이들과 경쟁하는 장성철(47·국민의당) 후보는 "도지사가 투기세력을 막으려 해도 권한이 없다"고 진단하고 조세권과 각종 인·허가권 집중 등 제주만의 부동산 정책 마련을 위한 제주특별법 개정을 공약했다.

제주을 부상일(44·새누리당) 후보는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도민의 생활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 지역에 대단위 택지개발을 서두르고 읍·면 지역에도 소규모 택지개발을 추진해 충분한 택지를 공급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같은 지역구 오영훈(47·더불어민주당) 후보는 폭등 원인을 중국자본의 투자 열기와 가파른 인구 증가, 제2공항 건설에 따른 부작용 때문으로 진단하고 공공임대주택의 공급 확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주택 정책 등을 제시했다.

오수용(53·국민의당) 후보 역시 투기자본 유입으로 인한 부동산 폭등을 우선 해결 과제로 꼽고 "동시에 제주 옛 도심의 역사와 전통을 살린 특화된 도시재생 정책으로 원도심을 살려 무분별한 도시확장을 막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서귀포 지역구 강지용(63·새누리당) 후보는 "이주 열풍으로 부동산 폭등과 같은 문제가 생기고 있지만 다재다능한 인력이 제주로 들어와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긍정적인 측면도 크다"며 "선진 기준에 맞게 택지·주택의 공급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같은 지역구 위성곤(48·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방정부가 지역의 사정에 맞는 부동산정책을 펼 수 있어야 한다"며 "제주특별법 개정을 통해 관련 권한을 이양받아 투기자본을 억제하는 등 효과적인 정책을 실행에 옮길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bj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