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수주절벽’ 현상이 지속되면서 조선업체 직원들의 고용위기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대로라면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빅3’에서만 3년 내에 4만~5만명의 실업자가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이들 빅3에서 일하고 있는 직원(협력업체 포함)은 14만4000여명에 이른다. 이 중 빅3가 직접 고용한 직원은 5만3000여명이고, 나머지 9만1000여명이 외주협력사 직원이다. 최근 대우조선해양에서 900여명이 줄어든 것을 비롯해 지난 1년간 1600여명이 회사를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2014년 말 조선 3사의 고용인원(협력업체 포함)은 14만5696명이었지만 최근엔 14만4000여명으로 줄었다.
[벼랑 끝 내몰린 조선업] '조선 빅3' 서만 4만~5만명 실직 우려
문제는 지금부터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지금과 같은 수주절벽 현상이 계속되면 당장 올 하반기부터 대량 실업사태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은 2019년까지 인력규모를 대폭 줄이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최근 “현재 4만2000명인 직원 수를 2019년까지 3만명으로 줄여 생산성을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저성과자 퇴출을 비롯한 상시 구조조정 △정년퇴직으로 인한 자연감소 △협력업체와의 계약해지 등을 통해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수주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본사 직원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구조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사정은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도 마찬가지다. 빅3에서만 3년 내 4만~5만명의 실업자가 나올 것이라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대우조선 노조가 나서서 거제시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한 것도 이런 이유다.

국내에서 지금까지 고용위기지역을 지정한 사례는 두 번 있었다. 2009년 쌍용자동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2397명의 대규모 구조조정을 하자 정부는 쌍용차 공장이 있는 경기 평택시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했다. 2013년에는 경남 통영시가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됐다. 삼호조선 21세기조선 등 중소형 조선사의 폐업이 잇따른 데 따른 조치였다.

■ 고용위기지역

기업의 도산, 구조조정 등으로 실업자나 비자발적 이직자 수가 전년도 전체 고용자 수의 3%를 넘는 등 고용상황이 악화한 지역을 말한다.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면 최소 1년간 일자리 사업 등에서 정부의 지원을 우선적으로 받는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