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국민의당 당사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오른쪽)와 김한길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이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국민의당 당사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오른쪽)와 김한길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이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김한길 국민의당 공동선대위원장은 7일 당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이번 총선에서 새누리당의 과반의석 저지를 위해 통합적 국민저항체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통합적 국민저항체제’는 안철수 공동대표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대립각을 세운 뒤 탈당을 감행하면서 한 말이다. 김 위원장이 안 대표의 야권 통합 불가 방침에 재차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회의장은 긴장감이 감돌았다.

김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우리 당이 교섭단체(현역의원 20명) 이상 의석만 확보하면 여당이 개헌선을 넘든 말든 상관없다는 식으로 정치를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나라와 국민과 역사를 생각하는 정치를 해야 한다”며 “집권세력의 개헌선 확보 저지를 위해서라면 우리 당은 그야말로 광야에서 모두가 죽어도 좋다는 식의 비장한 각오로 이번 총선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대표의 발언을 인용한 것이지만, 김 위원장의 말은 ‘통합’에 방점을 찍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안 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적밖에 없는 힘들고 두려운 광야에서 결코 돌아갈 수 없다. 이 광야에서 죽어도 좋다”는 발언을 했다.

안 대표는 곧바로 “국민의 현명한 판단을 믿는다. 이런 퇴행적 새누리당에 개헌 저지선이 무너지는 그런 결과를 국민이 주진 않을 것”이라며 야권 통합 반대 의사를 재확인했다. 안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이 자신의 통합 반대론에 이의를 제기한 것과 관련, “야권 통합 문제는 이미 지난주 금요일 연석회의를 통해 당론으로 확정됐다”며 “한 분의 말씀으로 그것이 바뀔 수는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천정배 공동대표도 김 위원장에게 동조하고 있다. 천 공동대표는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에 개헌 저지선(200석)을 내주는 건 절대 있을 수 없다”며 “국민의당으로서도 그건 대재앙”이라고 했다. 수도권 연대에 대해서도 “아직 당내 논의가 없었다”며 “새누리당 압승을 저지하기 위해 당 내부의 활발하고 질서 있는 토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